• 램프쿡 로고
    • 검색검색창 도움말
  •   
  • 사찰음식 웹툰

  • SNS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카카오스토리 카카오톡
  • 이전페이지
  • 목차
  • 다음페이지
  • Chapter 2. 일운 스님의 사찰음식 이야기
  • 이동

h2mark ‘一日不作이면 一日不食’

‘一日不作이면 一日不食’
■ 마지(摩旨) 올리기
마지(摩旨) 올리기
부처님께 올리는 밥을 마지(摩旨)라고 한다.
특별히 마지그릇에 담는다.
마지그릇을 들 때는 오른 손으로 마지그릇의 맨 아래부분을 받쳐 잡는다.
그리고는 오른손을 오른 어깨위에 올린다.
이럴 경우 왼손은 오른 손목을 받쳐 붙잡는다. 즉 마지그릇이 오른쪽 귀와 오른쪽 어깨위에 닿는다고 생각하면 된다.
이러한 자세는 부처님의 밥에 입김이 닿지 않도록 하는 배려에서 비롯된 것이다.
그러나 이럴 경우 자칫하면 밥을 들러 엎을 수 있다.
특히 큰 불사가 있거나 사람이 많을 경우 자칫 긴장하면 더더욱 위태롭다.
그럴 때는 차라리 가슴에 품어 안아 올리는 것이 정도에 맞는다.
법 (法)이란 물(水)처럼 자연스럽게 흘러 가는(去) 것이다.
자연스럽지 않은 번문욕례(繁文縟禮)는 하나하나 고쳐 나가야 한다.

* 자료 : 불교용어 사전

※ 이 기사를 응원해 주세요

후원 : ARS 060-707-1080, 한 통에 5000원

출처 : 법보신문(http://www.beopbo.com)

법보신문 후원하기

h2mark 더 보기

No. 제목 보기
1 ‘먹는다(食)’의 불교적 의미 바로가기
2 ‘一日不作이면 一日不食’ -
3 발우공양이 밥상예절이다 바로가기
4 자연에 순응한 나눔의 건강식 바로가기
5 육식의 절제가 자연 지키는 일 바로가기
6 수행의 시작, 공양간 소임살기 바로가기
7 자비공양을 보시합시다 바로가기
8 정결(淨潔)한 공양간 바로가기
9 자비공양은 평등실천입니다 바로가기
10 깨끗한 자연이 곧 청정한 음식이다 바로가기
11 행복한 식사를 원하십니까 바로가기
12 절제하는 식습관이 건강 챙기는 일 바로가기
13 사찰음식에 금기시되는 채소 바로가기
14 소중한 음식문화의 전승 바로가기
15 식습관을 다스리는 감사하는 마음 바로가기
16 식습관의 변화와 실천 바로가기
17 병이 생기면 마음을 먼저 살피십시오 바로가기
18 건강해야 실천할 수 있습니다 바로가기
19 음식보시(施食)의 공덕 바로가기
20 먹을거리, 바른 마음으로 얻기 바로가기
21 음식 만드는 과정이 마음자리 바로가기
22 바르게 알고 실천하기 바로가기
23 실천에도 연습이 필요합니다 바로가기
24 사찰음식은 나눔의 정신 바로가기
  • 이전페이지
  • 목차
  • 다음페이지
  • 자료출처 •서울특별시 친환경급식담당관 •대한불교조계종 한국불교문화사업단(선재사찰음식문화연구원)
  • 자료출처 바로가기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바로가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