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램프쿡 로고
    • 검색검색창 도움말
  •   
  • 동양의 음식문화

  • SNS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카카오스토리 카카오톡
  • 이전페이지
  • 목차
  • 다음페이지
  • Chapter 20. 세 나라의 음식문화 비교
  • 이동

h2mark 식습관

3.4.1 한국의 식습관

한국식 비빔밥은 위에서 아래까지 철저하게 섞는데 그 결과 요리의 재료가 무엇인지 알 수 없게 되는 경우가 많다. 한국에서는 이렇게 철저하게 섞는 것에 의해 독특한 맛을 느낄 수 있다고 생각한다. 한국속담에 “비빔밥을 먹을 때 촌수가 나온다”는 말이 있다.

커다란 양푼 하나에다 잔똑 비범밥을 각자의 숟가락을 함께 넣어 먹는 데서 한국은 정과 동질 의식을 느낀다. 비범밥뿐 만 아니라 팔빙수도 섞어서 덕는다. 이렇게 한국인은 여러 가지 재료의 맛을 섞어서 새로 생긴 득톡한 자극적이고 ‘통합의 맛’을 좋아하다.

비빔밥은 일본에도 알려진 한국음식인데, 비범밥을 처음 접하는 대부분의 일본인은 섞지 않고 계란, 당근, 오정어 동 올러진 순서대로 위에서 부터 먹는다.

한국인은 잘 비비지 않으면 비범밥의 진정한 맛을 알 수 없다고 여기지만 일본인은 비비지 않고 먹어야 개개 재료의 맛을 유지한 채 하나하나 느낄 수 있다고 여긴다. 한국문화는 접촉의 문화다.

한국사회에서는 연이 중요하기에 그 연을 강화시키고 또 그 연을 확인하고 살지 않을 수 없으며, 그 강화나 확인 수단이 바로 한잔 슬에 입을 같이 대어 마시고 한솔밥을 같이 먹는 공식 문화로 나타난 것이다.21)

다소 피해가 가더라도 서로 접촉하고 부대끼면서 일체감과 정을 느끼는 것이 한국 문화인 반면 일본문화는 직접적인 접촉 기피 문화이다. 남한테 폐를 끼치는 것도 피해룰 받는 것도 원치 않기 때문에 가능한 서로 신세를 지지 않도록 신경을 쓰는 긴장된 인간관계를 중시한다.

3.4.2 중국의 식습관

2차 대전 중 중국에 남겨졌던 일본인이 얼마 전 일본에 초청되어 갔을 때 점심으로 나온 도시락을 받고는 어떻게 찬밥을 줄 수가 있느냐고 화를 낸 사건이 있었다. 태생은 일본인이나 중국문화에 습관이 되어 생긴 오해의 예이다.

지금은 일본식의 날 요리가 중국에도 많이 유입되서 날 요리를 먹는 사람도 많아졌다고는 하지만 중국인은 보편적으로 뜨거운 요리룹 좋아하고 먹을 수 없는 것을 인공기술을 통해서 먹을 수 있게 익혀서 먹는다.

중국인이 식사할 때는 한 동근 식탁 옆에 모아 큰 접시에 나온 뜨거운 음식을 먹는 방식이다. 뜨거운 요리가 하나씩 나오고 먹는 사람도 즐거운 이야기를 하면서 요리를 한 증류씩 맛본다. 중국의 정통요리점에 가면 조용하게 먹는 일본이나 한국 식당과 전혀 다른 분위기를 느껴질 수 있다.

중국에서는 음식의 맛도 중요하지만 그런 화목한 대가족 분위기도 중요하다. 이런 중국인들은 가정의 화목한 분위기를 중요시하고 시끄러움을 좋아한다. 특별히 멀리 손님이 오면 꼭 식당에 가서 그런 시끄러운 분위기를 타면서 대접한다.

그리고 대접하는 주인은 필요할 만큼이 아니라 접시를 다 올려놓을 수 없을 정도로 푸짐하게 음식을 대접해야 성의를 표시할 수 있다. 역사적으르 주(周)와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를 통해 명분중심사상과 체면 중심 사상이 발생하였다.

패자(覇者)가 되고자 하는 많은 무인(武人)들은 천자를 옹립할 목적으로 천자의 수호라는 명분을 외쳤다. 그리고 그 후의 역사에서 알 수 있듯이 계속 민중을 지키고, 국가를 편히 한다는 명분울 내세웠으며, 명 • 청 시대에는 외세를 물리친다는 명분이 있었다.

이런 역사적인 배경 속에서 만년 가까이를 지속해 온 그들의 사상 속에는 명분을 중시하고 체면을 중시하는 사상이 발생했다고 볼 수 있다.

3.4.3 일본의 식습관

일본의 샤브샤브는 고기나 생선을 한 번 먹을 분량만 젓가락으로 집어 육수에 넣고 흔들 듯이 살싹 익혀 먹기를 반복한다. 스키야키 또한 재료를 마구 섞어서 넣지 않고 야채면 야채, 고기면 고기, 두부면 두부끼리 확실히 구분해서 넣어 끓인다.

일본 전통요리의 하나인 가이세키 요러는 적은 양의 여러 음식을 하나 하나 차례로 내놓는 코스식이다. 여기서 나오는 각각의 음식들을 보면 마치 소꼽장난 같은 느낌마저 든다.

생선 한두 점에 국화가 곁들여지거나 단풍잎으로 받쳐진 콩 요리가 나오거나 하여, 아름답게 보이도록 여러 색깔을 배합하려고 장식으로 사용한다. 그래서 일본사람은 한국에 와서 비범밥을 먹을 때도 전혀 섞지 않고 그 안의 것을 하나하나 골라서 먹는 것이다.

충분하게 먹어야 미덕인 중국이나 한국과 달리, 조금씩 아름답게 그릇과의 조화도 생각하며 먹는 것도 일본요리의 특징이다.

“먼저 눈으로 먹고 다음은 입으로 먹으며 마지막으로 마음으로 먹는다”는 말에서 알 수 있듯이 요리의 색채, 배합, 그리고 식기의 빛깔이 잘 조화를 이룰 뿐만 아니라 음식을 담은 짜임새라든가 한 상에 놓인 음식 전체의 조화나 장소에까지 세심하게 신경을 쓰기 때문에 한 폭의 그림과도 같다.

식기는 다른 나라처럼 통일성을 지닌 것이 아니고 모양과 빛깔이 음식에 따라 바뀌어지도록 만들어져 있어 음식을 먹기 전 식기에 대한 칭송도 아끼지 않는다. 그래서 일본요리를 대하면 온갖 정성을 다했다는 것을 한눈에 느낄 수 있다.

한국 음식이나 중국 음식의 푸짐함과 친밀감에서 느껴지는 구수한 맛이 결여되어 있기는 하지만 보는 것만으로도 일본의 미의식이 층분허 느껴진다.

따뜻한 봄이 되면 남녀노소 가리지 않고 “하나미(花見)”를 간다는 사실이나, 일본인의 자연에 대한 감상을 담은 문학작품, 또는 흔하게 접할 수 있는 대중문화를 봐도 그돌의 미의식을 느낄 수 있다. 나츠메 소세키의 소설『풀베게(草枕)』속에서 주인공은 음식에 대해 다음과 같이 이야기를 했다.

저녁의 소녀이다. 어쩐지 부족하다. “늦었습니다”라며 상을 차려놓는다. 아침의 이야기도 다른 이야기도 안 했다. 생선구이하고 채소룰 곁들이고, 공기의 뚜껑을 열면 고살이의 가운데 홍백으로 물든 새우를 속에 넣었다.

정말 좋은 색깔이라고 생각하면서 공기에 다 바라보고 있었다. “싫으세요?” 라고 하녀는 물어본다. “아니, 지금 먹을께” 라고 말면서 정말 먹기 아깝다는 느낌이 들었다.

터너(사람의 이롬)가 저녁의 자리에서 접시에 담긴 셀러드를 뚫어지게 보면서 “시원한 색깔이다. 이것은 내가 쓰는 색깔이야” 라고 옆의 사람에게 말했다는 이야기를 어떤 책에서 읽어본 적이 있는데 이 새우와 고살이의 색깔을 정말 터너에게 보여주고 싶다.

원래 서양음식에 색깔이 좋은 것은 하나도 없다. 있다 해도 셀러드와 당근 같은 것이다. 자양(慈養) 면에서 말하면 어떤지 모르지만 그림가로서 보면 아주 발전 안 된 요리이다.

거기에 가면 일본의 메뉴는 장국이든 사시미든 정말 너무 예쁘게 나오겠다. 앞에 놓으면 한 젓가락도 대지 않고 그냥 구경만하고 나서 돌아가도 눈의 보양면에서는 음식점에 들린 보람이 있다.

위 소설에 나온 주인공이 일본요리가 먹지 않고 그냥 구경해도 눈의 보양이 될 만큼 아름다운 요리라고 한것처럼 일본음식은 눈으로 먹는 음식이라 할 수 있다.

일본사람의 강한 미의식과 미적 추구를 느낄 수 있다. 작가는 이 작품 안에서 전통 일본음식의 미감을 결시하면서 메이지 유신(明治維新) 이후 들어온 서구문화를 맹목적으로 숭상하고 무선택적으로 받아돌인 일본사람에게 전통문화의 우수성을 알린 것이다.

  • 이전페이지
  • 목차
  • 다음페이지
  • 자료출처 •중앙대학교 대학원 •홍익대학교
  • 자료출처 바로가기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바로가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