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램프쿡 로고
    • 검색검색창 도움말
  •   
  • 한식의 다문화조리

  • SNS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카카오스토리 카카오톡
  • 이전페이지
  • 목차
  • 다음페이지
  • Chapter 1. 서론
  • 이동

h2mark 연구의 배경

식생활은 인간의 기본적인 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인간의 생명 유지 와 기본적 생리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필수요소이다(현순옥, 1984; 서경화․이 수범․신민자, 2003). 음식을 공유 한다는 것은 높은 수준의 친교와 더불어 서로를 인정하고 친밀한 관계가 이루어진다는 것을 상징한다.

나아가 민족 고유의 음식을 서로 전달한다는 것은 민족 상호간의 이해와 문화교류의 폭을 증진 시킨다고 볼 수 있다(Han, Huh & Kim, 1995; Han, Kim․Kim, Kim, Kimiko & Takahisa, 1998; 서경화외 2003).

최근 세계화 의식이 고조되면서 외국의 문화가 상품과 더불어 대량으로 수입 되어 우리의 생활에 확산되어 가고 있는 오늘날, 우리의 식생활양상에도 많은 변화가 나타났다.

특히, 햄버그, 피자, 통닭튀김(Kentucky Fried Chicken)과 편의점의 증가는 그 대중성과 실용성에 힘입어 대단한 인기를 얻고 있으며 Thomas는 이러한 사실은 문화적 교류 현상이라고 표현하고 있다(한재숙․허성미․김미 향, 1995).

이렇게 음식은 문화의 한 부분으로서 인간의 삶과 밀접한 관련을 갖고 있음 에도 불구하고 오랫동안 문화인류학의 한 하위 학문분야로 자리잡고 있다(조흥 연, 1998).

이러한 식생활 문화는 지역적 특성과 인종적 그리고 종교적 특성등 다양한 영향요인에 따라 변화되는데, 농경문화를 바탕으로 한 동양에서는 곡물류 위주의 음식이 발달한 반면 목축문화에 기원을 둔 서양조리는 육류를 기반 으로 한 요리가 그 주를 이루고 있다(강다원, 2003).

그러나 교통과 통신수단의 발달은 이러한 구분을 점차 불명확하게 만드는 실정이라 하겠다. 이에 21세기는 ‘식품전쟁의 시대’, 또는 ‘음식전쟁의 시대’ 라고 할 수 있으며, 이는 우수한 식품을 확보하여 국가이익을 지키기 위한 국제적 경쟁이 치열해짐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이에 각국의 고유한 전통식품을 개발하고, 지적 재산권으로 보호하 여 경제적 이익을 증대함은 물론, 국가 이미지를 제고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국 가적 과제로 등장하게 되었다(김재수, 2005). 음식문화의 전파는 해당 국가의 경제력에 따라 많은 영향을 받는다고 볼 수 있다.

미국의 경우를 살펴보면 미국 식품 산업의 국제적 위상은 매우 높다. 식품 분야가 미래의 고부가가치 분야로 인식되어 막대한 자본과 기술을 가진 일류 기업 및 식품과 화학을 결합하는 국제적 기업이 식품 시장에 진출 또는 진출을 강화하고 있으며 특히 각종 패스트푸드의 해외진출 확대는 식품분야의 세계지배로 인식되기도 한다.

최근에는 식품을 하나의 문화자산으로 인식하고 있고 이를 새로운 음식문화로 인식한다(김재수, 2005).

이에 반하여 현재 우리나라는 ‘2005년 세계 국민총소득’에 따르면 작년 한국의 국민총소득(GNI)는 7천6백47억 미국달러로 세계 11위, 구매력지수(PPP) 기준으로는 한국의 GNI가 2만1천8백50 미국달러로, 2백8개국 중 46위를 기록한 것으로 조사된 반면 ‘아틀라스 방식’으로 계산한 한국의 1인당 GNI는 1만5천8백 30달러로 세계 49위에 올랐다.

또한 한국무역협회가 2006년도 발표한 2005년도 무역 기준으로 교역액이 5854억 미국달러로 세계 12대 무역국이다. 이는 한국이 전체 경제규모로는 세계 10위권 수준에 올라 있음을 말한다(경향신문 2006. 7. 8). 이를 지난 1960년대와 비교하면, 사회 전반적으로 경제 발전과 함께 엄청난 문화의 발전도 가져왔다.

‘문명의 충돌’의 저자 새뮤얼 헌팅턴은 ‘문화가 말해 준다(Cultures Count)’라는 논문의 서두에 1960년대 아프리카 가나와 한국이 GNP는 물론 공업 수준이나 생산품도 거의 비슷했고, 심지어 원조 받는 액수까지도 비슷하였던 수준의 두 나라가 40년 후에는 한국은 경제 규모로 세계 10위권의 나라가 됐는데 가나는 왜 한국의 15분의 1도 안 되는 나라로 머무르고 있는가에 대하여 그는 그 이유를 문화에서 찾았다(중앙일보, 2006. 9. 5).

그러나 이러한 괄목할만한 전반적인 문화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음식문화는 경제규모나 국가의 위상에 비하면 제대로 대접을 받지 못하고 있고 한국 음식의 우수성도 잘 알려지지 않고 있으며 한국 음식의 국제화에 대한 인식도 부족하고 이를 위한 정부나 업계차원의 지원도 미흡하였다(김재수, 2005).

또한 세계 식문화의 총 집합소라 할 수 있는 미국인의 식생활에 가장 많이 활용되는 민족 음식으로 NRA(Natonal Restuarant Association)의 조사 결과, 중식, 이태리식, 멕시코식 순으로 이들이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일식, 라틴 아메리카식, 프랑스식, 베트남식, 마지막으로 한식 순으로 보고되어 한식의 인기도가 상대적으로 다른 나라 음식에 비해 떨어졌다(Sloan 2002; NRA 2002; 김선아․이민아․김은미․이승주 2003).

근래에 와서 경제성장과, 한류의 파급효과로 세계적으로 한국음식이 유행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중국, 일본, 태국 음식에 비해 서양세계에서 차지 하고 있는 위치는 높지 않다(구난숙․권순자․이경애․이선영 2004; 김선아 외 2003).

미국의 동부지역에서도 타이를 비롯한 일본, 인도 중국음식이 다양하게 분포되어 인기를 얻고 있으나 한국음식은 상대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지 못하다.

한국음식은 건강음식이라는 것을 알면서도 약간의 모험을 필요로 하는데, 이는 대부분의 한국식당이 현지인을 대상으로 마케팅활동을 하지 않을 뿐 아니라 그 들의 문화를 이해하고 접근하려는 노력을 기울이지 않기 때문이라고 알려져 있다(The New York Times, 1999).

이러한 현실 속 에서도 세계는 이미 단일 세계체제에 접어들고 있거나 들어와 있다. 단일 세계체제란 이미 일정정도의 근대적 산업 체제를 확립 했거나 산업화를 진행시키고 있는 나라들, 그리고 근대적 산업 체제를 넘어, 고도 정보화 사회로 진입되고 있는 나라들의 경우, 지구화는 부인할 수 없는 세계적 현상으로 보편성을 획득하고 있는 것이다(도정일, 1997).

이런 관점에서 현재 진행되고 있는 한미 간 자유무역협정(FTA:Free Trade Agreement)의 큰 의미는 국가와 국가 간의 모든 물품들이 거래 될 수 있고 식품에 있어서도 지구상에서 수확되는 어떤 재료도 우리나라에서 다 사용할 수 있는 단일시장의 거역할 수 없는 시대의 흐름이 되었다(정인교, 2005).

이는 식생활이 그 나라 민족의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영향을 받으면서 형성되며(Gift, Wasbon & Harrison, 1972), 그와 동시에 다른 나라와의 교류속에서 형성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Carpo, 1993).

이에 우리나라 음식을 세계화하기 위한 연구(문현경, 1994; 심영자․정복미․ 김은실․주나미, 2000; 강다원, 2003; 김재수, 2005; 삼성경제연구소, 2003), 또는 외국인들의 우리나라 음식만족도에 대한 연구(한재숙․허성미․김미향, 1995; 한재숙․김정숙․김소영․김명선․大谷貴美子․南出隆久, 1998; 배영희․진린자오, 2003; 김선아․이민아․김은미․이승주; 2004; 이승주․김은미․이민아․김선아, 2006)가 주로 진행되어오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는 주로 한국음식의 전통을 지켜야 한다는 입장과 동시에 우리나라 전통음식 중 어떠한 음식을 외국인들이 선호하는가에 대한 연구로 진행되어오고 있을 뿐이다.

특히 우리나라 음식에 대한 세계화 방안에 관한 연구추세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국가 간 식문화의 전래가 다양하고 활발해진 현 상황과 비교해 볼 때, 다소 고유한 우리의 맛을 지켜야 한다는 당위성만을 제시하고 있다고 볼 수 있겠다.

따라서 한국도 문화와 문화가 교류되는 다문화화(Multiculturalize)의 식문화관 점에서 보면 다양한 식재료, 맛, 조리 기기, 조리법, 식사형태 등 새로운 식문화와 한국음식 문화의 접목이 필요한 시점이다.

  • 이전페이지
  • 목차
  • 다음페이지
  • 자료출처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자료출처 바로가기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바로가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