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램프쿡 로고
    • 검색검색창 도움말
  •   
  • 프랑스 명품와인

  • SNS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카카오스토리 카카오톡
  • 이전페이지
  • 목차
  • 다음페이지
  • Chapter 9. 부르고뉴 와인
  • 이동

h2mark 머리말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최고급 와인 생산지역으로 우리는 보르도 지역과 부르고뉴 지역을 들 수 있다. 그런데 서로 거리상으로는 얼마 되지 않은 이 두 지역의 와인은 아주 다른 특성을 지닌다고 말할 수 있다.

Jean-Robert Pitte(2005)에 따르면 이 두 지역의 와인은 영국과 프랑스가 서로 다른 문화를 발전시켜 온 것처럼 서로 독특한 와인 문화를 형성하고 있다는 것이다.

보르도 와인이 세련된 부르주아적 특성을 지닌다면 부르고뉴 와인은 시골풍의 고풍적인 느낌을 갖는 와인으로 간주할 수 있다. 라벨에 포도원을 나타내는 용어도 보르도 지역의 와인은 주로 ‘Chateaux’ 라는 용어를 사용하는데 부르고뉴 지역은 포도가 재배된 포도밭 이름의 용어를 사용한다.

특히 부르고뉴 지역은 포도원에 ‘Clos’ 라는 용어가 빈번히 사용된다. 품종과 양조방식도 아주 다르다. 보르도 와인은 단일 품종으로 양조하지 않는다. 항상 2-3 가지의 품종을 섞어 와인을 생산한다.

보르도의 주품종인 카베르네 소비뇽(cabernet sauvignon)1)은 과일 향이 풍부한 카베르네 프랑(cabernet franc)이나 메를로(merlot) 등과 섞어서 와인을 만든다. 왜냐하면 보르도에서는 날씨가 불규칙하기 때문이다.

늦게 강한 얼음이 얼거나 수확 때 비가 자주 오기 때문에 해 마다 날씨가 달라 블렌딩 역시 다를 수밖에 없다. 그러나 부르고뉴 와인은 단일 품종으로만 와인을 만든다.

한 종류의 포도를 똑 같은 방식으로 재배하고 똑같은 방식으로 와인을 만들지만 그 맛은 아주 다양한 품질의 차이를 보여 준다. 와인 등급 체계도 극도로 다양하며 서로 다르다.

보르도 지역은 1855년 파리 엑스포(Paris Expo)를 계기로 메독 지방을 중심으로 와인등급 분류2)가 이루어지는데 부르고뉴 지역은 테르와르(terroir), 더 자세히 말하 자면 클리마(climat)를 중심으로 와인 등급이 정해진다.

그래서 부르고뉴 와인 원산지 명칭 체계는 아주 복잡하다. 이 점이 부르고뉴 와인을 이해 하기 어렵게 만든다고 볼 수 있다.

부르고뉴는 지리적으로 욘느(Yonne), 코트 도르(Côte d'Or), 손네 르와 르(Saône˗et˗Loire) 세 개의 도(département)를 포함하는 지역으로 샤블 리(Chablis) 북쪽에서 마꼬네(Mâconnais) 남쪽까지 250km에 걸쳐 있 다.3) 부르고뉴는 아주 다양한 풍경을 보여주는 지역이다.

그 풍경 중에서 포도밭 풍경은 가장 아름다운 풍경으로 평가 받는다. 포도재배는 로마시대 이후로 계속되었으며 부르고뉴 와인은 최상의 명성을 얻고 있다.4) 이 점은 부르고뉴 포도밭이 프랑스 전체 포도밭의 10% 정도를 차지하지만 원산지 통제명칭은 프랑스 전체 와인의 25%를 차지한다는 점에서 증명된다.

본고의 목적은 부르고뉴 지방 와인의 체계적인 고찰을 통해 오늘날 극도로 다양성을 지닌 부르고뉴 와인의 고유한 특성을 밝히고 그 지역에 대한 위계를 설명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우리는 먼저 부르고뉴 포도밭의 기원에서부터 오늘날 부르고뉴 포도밭이 생성되기까지의 역사적 배경을 살핀다. 이어서 필자의 관점에서 본 부르고뉴 와인의 특성을 네 가지로 제시하고 그 대표적 포도품종도 설명한다.

마지막으로 부르고뉴 와인의 생산지역과 그 와인의 위계를 고찰하면서 그랑 크뤼(Grand Cru)급 와인만을 소개하고자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우리는 세계 시장에서 가장 유명한 와인들 중의 하나로 간주되는 부르고뉴 와인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사실 국내에는 부르고뉴 와인에 관한 전문적인 소개는 있지 않으며 선행연구도 거의 없다고 볼 수 있다.5)

  • 이전페이지
  • 목차
  • 다음페이지
  • 자료출처 •krei 한국농촌경제연구원 •thinkusadairy.org
  • 자료출처 바로가기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바로가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