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램프쿡 로고
    • 검색검색창 도움말
  •   
  • 사찰음식 계절요리

  • SNS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카카오스토리 카카오톡
  • 이전페이지
  • 목차
  • 다음페이지
  • Chapter 7. 가을 사찰음식
  • 이동

h2mark 공양

♣ 供養

수행자에게 음식을 제공하는 것을 불교에서는 생명을 기른다는 뜻에서 공양이라고 한다. 수행자는 도를 성취해 일체중생을 건질 것이기 때문에 수행을 돕는 음식물의 제공은 큰 공덕을 쌓는다고 여겼다.

수행자 가운데 가장 뛰어난 수행자인 부처님께 공양(供養) 올리는 것은 불공(佛供)이라 하고 공덕이 특히 크다고 여겼다. 농사짓는 사람은 그 해의 첫 수확을 부처님께 올린다. 차를 만드는 사람은 햇차를 부처님께 올린다.

사찰의 부처님 계신 곳(불단)에는 그렇게 정성으로 올린 것들이 나란히 자리한다. 풍성한 결실을 부처님께 올림으로써 모든 중생이 배고픔에서 벗어나고 그 공덕이 스스로에게 돌아오기를 기원하는 아름다운 마음이 담겨있다.

사찰음식 공양(供養)

공양은 점차 의미가 확대되어 절에서 식사하는 것도 공양한다고 말한다. 그냥 밥 먹는 일을 왜 공양한다고 했을까를 깊이 생각해보면 대승불교의 깊은 뜻이 담겨 있음을 알 수 있다. 나는 미래의 부처님이다. 언젠가 부처님이 될 존재다.

내 안에는 소중한 불성이 있다. 내가 먹는 한 끼 식사를 공양이라고 부르는 순간, 그 한 끼 식사는 부처님께 올리는 공양이 된다. 그러므로 부처님이 되기 위해 부단히 정진해야만 하는 것이다.

♣ 연기대사의 효심

사찰음식 연기대사의 효심

천년을 어머니께

공양 올려도

천년이 넘도록 어머니께 공양올려도

생전에 베풀어 주신 은혜를 갚을 수 있을까?

삼층석탑 아래 연꽃을 들고 선 어머니는

석등을 이고 꿇어 앉은 아들의 공양을 미소로 받네.

* 6세기에 만들어진 한국의 국가보물 화엄사 효대

  • 이전페이지
  • 목차
  • 다음페이지
  • 자료출처 •대한불교조계종 •동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이심열 교수
  • 자료출처 바로가기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바로가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