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램프쿡 로고
    • 검색검색창 도움말
  •   
  • 전통 떡 만들기

  • SNS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카카오스토리 카카오톡
  • 이전페이지
  • 목차
  • 다음페이지
  • Chapter 7. 부록
  • 이동

h2mark 강원도 민요와 ‘떡’ 이야기

척박한 자연환경속 삶의 고단함으로 인해 강원도 민요는 탄식이나 애원조의 소리가 많은데 유독 제액과 발복을빌며 축원하는 고사소리에는 계절별로 강원인이 즐겨 먹던 떡이 등장하고 있다.

“강원도 하고도 이십육관군으로 하면은 화천군 면으로 하면은 사내면리로 하면은 광덕리 터전은 나라 터전 마전은 신씨 마전에 정좌를 하고 작년같은 해오년은 꿈결같이 지나가고 금년 새해 잡아들어 일년도액이 시작하니 일년도액을 풀고가자”

정월에 드는 약은 이월 한식에 막아내고 이월에 드는 액은 삼월삼일에 막아내고

삼월에 드는 액은 사월초파일에 막아내고 사월에 드는 액은 오월단오에 막아내고

오월에 드는 액은 유월유두에 막아내고 유월에 드는 액은 칠월칠석에 막아내고

칠월에 드는 액은 팔월 하고도 한가위 오리송편을 꽉꽉 빚어서 잡귀 잡신 불러다가 의주월광 소멸시키니 안과태평 분명하구나

팔월에 드는 액은 구월구일에 막아내고

구월에 드는 액은 시월 무오일에 막아내고

시월에 드는 액은 동짓달 동짓날 막아내고

동짓날에 드는 액은 섣달하고도 한 겨울 인절미를 꽉꽉 빚어서 잡귀 잡신 불러다 의주월광 소멸시키니 안과태평이 분평하구나

섣달에 드는 액은 정월하고도 대보름 오곡밥을 정히 지어 잡귀잡신 불러다가 의주월광 소멸시키니 안과태평이 분명하구나

강원도 화천지방에서 채록한「고사소리」로 떡이 액막이로 쓰였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양구지방의「고사판 소리」에서는 떡이 천신과 농신, 지신께 예를올 리는 제물로 쓰였음을 알 수 있다.

인절미 방아 찧는 모양
▲ 그림 「방아 찧는 모양」

또한 남녀노소즐겨 불렀던「생활요」에서는 재미있고 특색있는 떡 관련 노래가 다수 채록되고 있는데 태백산맥을 중심으로 영서지역에서 자주 불려지던「고모네집」에서는 맛깔스런 수수팥떡이 등장하기도 한다.

“고모네 집에 갔더니/ 암탉수탉 잡아서/ 기름에 동동 뜨는 걸/ 나 한숟가락 한주더라/ 우리집에 와바라/ 수수팥떡 안준다.”

지방마다 내려오는「떡타령」을 보면 일년열두달 주변에서 나는 다양한 재료를 가지고 갖가지 다양한 떡을 만들어 즐겨 나눠 먹었음을 알 수 있다.

“떡 사오떡 사오떡 사려오/ 정월보름 달떡이요/ 이월 한식 송병이요 삼월삼짇 쑥떡이로다. 사월파일 느티떡에/ 오월단오 수리취떡/ 유월유두에 밀전병이라/ 칠월 칠석에 수단이요/ 팔월 가위 모례송편/ 구월구일 국화떡이라/ 시월상달 무시루떡 동짓달 동짓날에 새앙심이/ 섣달에는 골무떡이라 두귀 발쪽 송편이요/ 세귀 발쪽 호만두/ 네귀 발쪽 인절미로다. <중략>

떡을 만들어 먹는 시기에 맞춰 노래한「떡타령」은 가사만 보아도 먹음직 스러운 떡이 연상되어 저절로 입맛을 돋우며 흥겨운 가락에 잠시나마 신골생활의 고됨과 번민에서 벗어나 생활의 윤활유가 되어주기도 하였다.

  • 이전페이지
  • 목차
  • 다음페이지
  • 자료출처 •강원도농업기술원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자료출처 바로가기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바로가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