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램프쿡 로고
    • 검색검색창 도움말
  •   
  • 북한음식 이야기

  • SNS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카카오스토리 카카오톡
  • 이전페이지
  • 목차
  • 다음페이지
  • Chapter 1. 북한 민속명절음식
  • 이동

h2mark 정월대보름음식

정월대보름은 정월 초하루부터 시작된 정초의 열다섯번째 되는날(15일)을 말한것인데 정초의 마지막 명절이였다. 대보름을 전통적인 민속명절로 맞이하였다는 기록은 김제의 시 《약밥》을 통해서도 잘 알수 있다.

찹쌀 쓿어 밥지을제 곶감 대추 한데 넣고 하얀 잣 달콤한 술 골고루 섞는다네
집집마다 약밥짓기 이제는 풍속되여
까마귀의 제사대신 조상제사에 드린다네

이 시는 약밥의 유래를 말하는 동시에 정월대보름명절이 세나라시기에 있었다는것을 알수 있게 한다. 대보름날의 독특한 음식으로서는 오곡밥과 약밥, 복쌈, 국수, 나물반찬, 부름깨기, 귀밝이술 등이 있었다. 복쌈은 배추잎이나 김으로 밥을 싸먹는것이였고 오곡밥은 다섯가지 낟알로 밥을 지은것을 말하였다.

약밥은 찰밥에 약이 된다고 하는 꿀이 들어갔다고 하여 불리워진 이름인데 대추, 감, 밤, 잣, 꿀, 참기름, 간장 등이 더 포함되였다. 대보름날은 《묵은 나물》을 먹는 날이라고도 하였다.

묵은 나물은 박나물, 버섯 등을 말린것과 오이꼭지, 가지껍질, 무우잎, 배추잎 등 국을 끓여먹으면 그해 여름 더위를 타지 않는다고 하였다. 이것은 남새철에 흔히 버릴수 있는것들은 잘 말려 보관해두었다가 남새가 귀한 계절에 요긴하게 리용한 선조들의 깐진 살림살이를 엿보게 한다.

이날에 《부스럼깨기》라고 하는 풍습이 있어 첫 새벽에 날밤, 호두, 은행, 잣 등을 깨먹으면 이발이 튼튼해진다고 하였다. 이것은 대보름명절에 별식으로서 약재로 되는 씨앗열매를 먹게 하려는 뜻에서 생긴것이다.

국수는 작은보름날(14일) 점심에 별식으로 먹었는데 이것은 국수오리처럼 오래오래 살것을 념원한데서였다. 덥히지 않은 찬술을 한잔씩 먹는 풍습이 있었는데 이것은 귀가 밝아진다고 하면서 《귀밝이술》이라 하여왔다. 대보름날 모두 맛있는 음식을 먹으며 즐겨 노는데 개만은 굶는 날로 되여있었다.

《동국세시기》에 《이날 개에게 먹이를 주지 않는다. 개가 먹이를 먹으면 앞으로 파리가 많이 끼기때문이다. 그래서 속담에 굶는것을 비유해서 정월보름날 개같다는 말이 있다.》라고 씌여있다. 민간에서 흔히 굶으며 사는것을 가리켜 《개 보름 쇠듯 한다》는 말도 여기서 유래된것이다.

♣ 약밥

약밥은 대보름날에 별식으로 해먹는 영양가 높은 고급한 음식이다. 이름 그대로 약밥은 찹쌀과 꿀, 밤, 대추 등 약재로 쓰이는 음식감들로 만들기때문에 사람들의 건강과 원기회복에서 큰 효과를 나타낸다. 약밥의 어원에는 두가지 설이 있다.

하나는 먹는것이 약이라는데서 이를테면 약주, 약과, 약수 등과 같이 밥중에 약과 가장 접근된 음식이라 하여 약밥이라고 했다는 설이며 다른 하나는 꿀이 들어간 음식에 흔히 《약》 자를 붙인데서부터 왔다는것이다.

옛 문헌들에는 약밥이 세나라시기와 조선봉건왕조시기에는 정월대보름날에, 고려시기에는 정월의 첫 사일에 먹는 음식으로 기록되여있다. 그러나 약밥을 정월명절음식으로 먹어온 관습은 오랜 옛날부터 있었다고 볼수 있다.

약밥 북한음식
<약밥>

약밥은 대보름날의 명절음식으로 되여있었을뿐아니라 대사상에도 빠지지 않고 오르는 대사음식, 귀한 손님이 오면 대접하는 특식이기도 하였다.

《목은집》에는 약밥에 대해 갖풀같은 찰밥을 한덩어리로 뭉치게 하여 산꿀을 고루게 버무리니 빛갈이 곱고 게다가 다시 대추와 밤, 잣을 섞으니 이발과 혀사이에서 달콤한 맛이 난다고 씌여있다.

약밥은 특이한 맛과 향기로 하여 옛 기록에 향밥(향기로운 밥), 잡과반(여러가지 과일을 섞은 밥) 등 각이한 이름으로 올라있다. 이웃나라들에서는 우리 나라의 약밥을 《고려반》이라고 하면서 진귀한 밥으로 높이 찬양하였다고 한다.

♣ 오곡밥

오곡밥은 다섯가지 알곡으로 지은 밥으로서 《오곡잡밥》이라고도 불리워왔다. 우리 나라에서 오곡의 재배력사는 매우 오래다. 고대의 남경유적에서 벼, 조, 수수, 기장, 콩 등 오곡이 나왔고 세나라시기의 기록들에는 오곡이 잘 되였다는 이야기가 많이 나온다.

오곡에 포함시키는 낟알은 시기마다 지방마다 달랐다. 옛 문헌자료들을 보면 《림원십륙지》에서는 벼, 조, 수수, 기장, 팥을 오곡으로 꼽았고 《규합총서》에서는 찰벼, 조, 수수, 콩, 팥을 들고있으며 《세종실록》에서는 벼, 콩, 기장, 보리, 피를 들고있다.

그러니 오곡이란 꼭 찍어 어느어느 곡식인것이 아니라 해당 시기에 그 고장에서 가장 많이 나는 임의의 낟알 다섯가지를 념두에 둔 개념이라는것을 알수 있다. 오곡의 재배력사가 오랜것만큼 우리 인민들이 오곡밥을 지어먹는 풍습도 그만큼 오래전에 생겼다.

오곡밥 북한음식
<오곡밥>

《동국세시기》에는 《정월대보름에 오곡밥을 지어먹는데 옛날부터 전해오는 풍속이다.》는 기록이 있다. 정월대보름에 오곡밥을 지어먹은것은 사람들이 애써 지은 곡식을 명절을 계기로 골고루 맛보려 하고 또 오곡이 사람의 몸에 좋은데로부터 생겨난 풍습이다.

이 풍습에는 새해에는 오곡이 잘 되여 풍년이 들며 오복이 있기를 바라는 인민들의 소박한 념원이 깃들어있다. 옛날부터 오곡밥을 먹을 때에는 꼭 나물음식을 곁들이는것을 풍습으로 전해왔다. 오곡밥은 오늘 명절뿐아니라 여느때에도 즐겨 지어먹는 음식으로 되고있다.

♣ 복쌈

쌈이라고 하면 밥에 반찬을 곁들여서 싸먹는 부루, 배추, 김같은것 또는 그것으로 싼 밥을 말한다. 대보름날에는 주로 김쌈을 먹었는데 이렇게 먹는 쌈을 《복쌈》이라고 하였다. 복쌈을 먹는 풍습은 그해에 복이 있을것을 바라는 사람들의 념원과 결부되여 오랜 옛날부터 전해왔다.

복쌈 북한음식
<복쌈>

♣ 묵은 나물찬

대보름날에는 말린 박나물, 고사리, 버섯, 도라지, 가지, 무우잎 같은것을 물에 불구었다가 데쳐서 무쳐먹거나 국을 끓여먹었다. 우리 인민들은 이처럼 여름철에 채취한 산나물이나 남새철에 흔히 내버릴수 있는것을 잘 말려서 보관하였다가 남새가 귀한 계절에 반찬으로 요긴하게 리용하는 깐진 살림살이기풍을 발양하면서 대보름날에 묵은 나물찬을 해먹어야 그해 여름에 더위를 타지 않는다고 하였다.

나물찬 북한음식
<나물찬>

♣ 국수

작은보름날(14일) 점심에 별식으로 국수를 눌러먹었는데 이것은 국수오리처럼 길게 살것을 념원한데서 나온 풍습이다. 그러므로 이날에 먹는 국수를 먹는 풍습이 있었다.

국수 북한음식
<국수>

♣ 귀밝이술

대보름날에 《귀밝이술》이라고 하여 찬 술을 한잔씩 마시는 풍습이 있었다. 사람들은 귀밝이술을 귀가 밝아지고 년중 기쁜 소식만 듣게 된다는 의미에서 마셨다고 한다. 이것은 건강에 해롭게 과음을 하지 않고 한두잔의 술로 명절을 맞는 우리 인민의 건전한 생활기풍에서 생겨난 풍습이라고 할수 있다.

귀밝이술 북한음식
<귀밝이술>
  • 이전페이지
  • 목차
  • 다음페이지
  • 자료출처 •조선료리협회
  • 자료출처 바로가기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바로가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