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램프쿡 로고
    • 검색검색창 도움말
  •   
  • 울산음식 이야기

  • SNS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카카오스토리 카카오톡
  • 이전페이지
  • 목차
  • 다음페이지
  • Chapter 15. 특별한 일상을 선물하는 떡
  • 이동

h2mark 떡과 밥의 경계에서 : 주개떡

자주 쓰이는 속담은 아니지만 “떡에 밥주걱”이라는 속담이 있다. 떡시루 앞에서 밥주걱을 들고 덤빈다는 뜻으로 무슨 일을 도무지 모르는 사람을 두고 이르는 말이라고 한다. 이 속담은 울산에서 제대로 쓰이지 못한다.

사실 밥과 떡의 경계는 명확하다. 밥은 주식이고 떡은 간식이다. 그런데 가끔 밥을 해 간식인 떡으로 만들어 먹기도 한다. 주개떡이 그러하다. 주개는 주걱을 뜻하는 울산말이다.

밥을 떡으로 만드는 것은 오로지 주개(주걱)의 힘이다. 밥을 주걱으로 수십 번 젓다보면 신기하게도 떡이 돼 버린다. 주로 찹쌀을 쓰는 까닭은 찰기가 더 강하기 때문이다. 여기에 콩고물이나 팥고물을 무치면 떡이 완성 된다. 주개떡을 만드는 방법은 간단하다.173)

① 팥을 푹 삶아서 물기를 빼고 소금간을 한다.

② 주걱으로 삶은 팥을 반쯤 으깬다.

③ 찹쌀을 씻어 불린 다음 소금으로 간을 해 밥을 한다. 물을 넉넉히 부어 질게 밥한다.

④ 질게 한 찹쌀밥을 주걱으로 척척 으깨어 밥알이 일부 있는 떡이 되게 한다.

⑤ 찰떡을 조금씩 떼어 팥고물을 묻힌다.

한 겨울 입이 심심하거나 가을걷이를 하면서 허기질 때 만들어 먹었다. 주개떡은 2월의 머슴날에도 해 먹었다. 흔히 2월은 머슴달로 불린다. 농사일을 하던 머슴들이 일을 하지 않고 쉴 수 있는 달이라는 의미이다. 머슴달 중에서는 2월 초하루를 머슴날이라고 부른다.

이날은 술과 음식, 용돈을 주면서 쉬게 한다. 이날 빠지지 않고 하는 떡이 있는데 이 떡을 머슴떡이라고 한다.174) 머슴들에게 주개떡을 해주며 한 해 농사를 부탁하는 것이다. 먹을거리가 풍족하지 않았던 시절, 허기진 배를 비교적 간편하게 채워 주었다.

주개떡
▲ 주개떡

구수하고 쫄깃한 맛이 일품이다. 일반적인 주개떡 외에도 호박주개떡도 있다. 다른 점은 팥과 찹쌀이 들어간 주개떡에 호박까지 보태진다는 것이다. 주개떡은 울산 전 지역에서 해 먹었다. 범서읍 두산리(서영애), 온양음 내광리(김금옥.정현숙), 웅촌면 초천리(박정희), 상북면 길천리(김외식) 등은 주개떡을 해 먹었다고 한다.

  • 이전페이지
  • 목차
  • 다음페이지
  • 자료출처 •부산광역시농업기술센터 •우리음식연구회 •제주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 •제주한라대학교 호텔조리과
  • 자료출처 바로가기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바로가기
Top
 X 
로그인 메세지
ID
P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