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램프쿡 로고
    • 검색검색창 도움말
  •   
  • 식료찬요 치료식단

  • SNS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카카오스토리 카카오톡
  • 이전페이지
  • 목차
  • 다음페이지
  • Chapter 2. 전통 음식관(飮食觀)
  • 이동

h2mark 오장육부와 음식의 조화

♣ 인체와 음식의 조화

서양의 식사요법에서 중요한 기초는 인체의 생리이다. 우리 인체의 각 장기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이해가 먼저 필요하다. 예를 들어 간에 관련된 질병의 식사요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선 간의 구조와 기능을 공부하여야 한다. 이는 동양에서도 마찬가지였던 것으로 보인다.

음식으로 치료하는 식료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인체 즉 몸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 이라고 보았다. 여기서는 간략히 오장 육부의 기능을 살펴보고자 한다. 오장은 우리 몸의 중요한 장기인 심장, 폐장, 비장, 간장, 신장으로 보았고, 육부는 직접 음식물의 소화흡수와 관련된 기관인 소장, 대장, 위, 담, 방광, 삼초를 말하였다.

(1) 오장(五臟)

장(臟)이란 체내에 감추어져 있는 내장을 말하며, 상(象)은 그것을 바깥으로 표출되는 생리와 병리현상을 말한다. 장상학(臟象學)은 인체의 생리, 병리현상의 관찰을 통해 인체 각각의 장부 생리기능과 병리변화 및 그 상호관계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장부는 내장의 총칭으로, 오장의 생리특성은 정기를 만들어 저장하는 것이고, 육부의 공통된 생리특성은 수곡(收穀)을 받아서 소화시켜 영양물질로 변화하는 작용이다.

① 심장(心臟)

흉곽 안과 횡격막 위에 위치하고 원형으로 끝이 좁고 긴 것이 연꽃 봉오리를 거꾸로 해놓은 것 같은 형태를 하고 있다. 기능은 마음을 안정시켜주고 혈압을 조절하며 심장의 화기를 없애주는 등 여러 가지 기능을 가지고 있다.

② 폐장(肺臟)

흉곽의 좌우에 하나씩 위치하고 있으며 가장 높이 있는 장이라 하여 화개(華蓋)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폐는 기와 호흡을 주관하므로 폐의 혈은 기를 보해주며 혈맥을 통하게 해준다. 또한 천식을 멈추게 하며, 가래를 제거하여 기침을 멎게 하는 작용을 한다.

③ 비장(脾臟)

중초(中焦)에 위치하고 횡경막 아래에 있다. 비장은 붓기를 빼고 몸안의 습을 소변을 통해 배출하는 기능이 있어 임상에서는 부종이나 복수, 피부병, 현기증 등의 치료에 사용한다.

④ 간장(肝臟)

복부에 위치하고 횡경막 아래, 오른쪽 갈비뼈 안에 위치한다. 간장은 혼이 머무르는 곳이며, 혈이 저장되고, 근(筋)의 종가(宗家)가 된다. 간은 소화기능과 더불어 몸의 해독 기능까지 하는 등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혈액을 저장하고 혈액량을 조절하는 기능이 있다.

⑤ 신장(腎臟)

허리에 위치하며 척추 좌우로 각각 한 개씩 있다. 신장은 우리 몸의 선천적인 근본이므로 신장이 튼튼하면 건강하고 장수할 수 있다.

(2) 육부(六腑)

소장, 대장, 위, 담, 방광, 삼초의 총칭이다. 음식물을 부숙(腐熟)시키고 소화시키고 찌꺼기로 바꾸는 것이 공통된 생리기능이며, 이러한 생리특징으로 인해 ‘유실이불능만(有實而不能滿 : 내실이 있어도 가득 차 있을 수 없다)’ 하다고 하며 ‘이강위순(以降爲順 : 내려 보내는 것이 순리)’ 하다고 하며 ‘이통위용(以通爲用 : 서로 소통하고 통과시키는 작용)’ 이라고 하기도 한다. 내려 보내고(降) 통과하는(通) 것이 과하거나 불급한 것은 모두 병리상태에 속한다.

① 소장(小腸)

위에서 소화를 거친 음식물을 받아들여 저장하면서 다음 단계의 소화를 진행하므로 ‘수성지관(受盛之官) 이라고 한다. 즉 음식물에서 나오는 에너지 물질을 흡수하여 찌꺼기는 소장에서 대장으로 운반함을 말한다. 열(熱)과 습(濕)을 소변으로 빼주며 대변을 통하게 하고 설사를 멈추게 하는 기능이 있으며 소장의 경락은 심장 경락과 표리 관계에 있어 심장질병을 치료하는데 응용이 가능하다. 소장 기능에 이상이 생기면 소화불량이나 설사, 변비, 복부에 가스가 차기도 한다.

② 대장(大腸)

소장의 내용물을 받아 그 중에서 수분을 흡수하고, 남은 찌꺼기를 대변으로 배출한다. 또한, 장부의 열을 내려주고, 폐와 대장은 표리 관계에 있다.

③ 위(胃)

소화기의 중요한 부분으로 음식이 들어가면 위액을 분비하면서 음식물이 체내에 흡수되기 쉽도록 만들어 준다. 또한 각 장기에 연락을 취해 간장에는 담즙의 분비를, 췌장에는 인슐린의 분비를 명령하게 된다. 따라서 위는 다른 모든 장기와 연락관계를 가지게 된다. 위에 이상이 생기면 소화불량, 구토, 동통, 복부창만 등이 생기게 된다.

④ 담(膽)

간 틈에 붙어 있어서 간장의 분비물인 담즙을 저장하였다가 위 내용물이 유문으로 나오기 시작하면 담즙을 소장으로 유출시켜 소화를 돕는다. 따라서 이상이 생기면 주로 담낭질환이나 입 안이 쓰다든가, 식욕감퇴, 옆구리와 배에 가스가 차서 결리는 증상을 보인다.

⑤ 방광(膀胱)

방광은 소변을 저장하고 배설하는 기능이 있으며 신장과 표리관계 이다.

■ 삼초(三焦)

삼초란 상초(上焦), 중초(中焦), 하초(下焦)로 나뉘며 목구멍에서부터 전음, 후음까지의 부위를 말한다. 상초(上焦)는 심, 폐, 머리가 포함되고 운화작용을 담당한다. 중초(中焦)는 비위가 속하며 영양섭취를 담당한다. 하초(下焦)는 간장, 신장, 소장, 대장, 방광 및 남녀의 생식기관을 포괄하며 배설을 담당한다.

<표 3-5> 오행표(五行表)
오행표(五行表)
  • 이전페이지
  • 목차
  • 다음페이지
  • 자료출처 •농촌진흥청 •호서대학교
  • 자료출처 바로가기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바로가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