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램프쿡 로고
    • 검색검색창 도움말
  •   
  • 한우.한돈 이야기

  • SNS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카카오스토리 카카오톡
  • 이전페이지
  • 목차
  • 다음페이지
  • Chapter 12. 제주의 보물, 가축이야기
  • 이동

h2mark 태초로부터 제주와 함께한 흑우

□ 제주에서 흑우의 출현은 정확히 언제인지는 알 수 없으나 출토되는 가축의 뼈를 통해 기원전부터였던 것으로 판단

○ 정확히 흑우라는 기록은 없으나, 옛날부터 제주에서 소가 사육 되었다는 기록은 여러 문헌과 전설에 전함

- 영주지, 고려사의 삼성신화, 삼국지위지 동이전, 동국여지승람 제38권에도 선사시대부터 야생우마를 길렀다는 기록이 존재

* 탐라국의 형성 초기에서부터 이미 소와 말이 사육되었음을 뒷받침

○ ’05년 제주대학교 오문유 교수팀의 연구 결과, 제주에서 흑우가 사육된 것은 기원전부터 시작된 것으로 결론

- 고내유적지(AD 700~800)와 곽지유적지(AD 0~900)에서 발굴된 유골을 분석한 결과 한우보다 제주 흑우와 흡사한 것으로 조사

제주 흑우 뼈

□ 원나라의 지배를 받게 되는 시기는 제주에서의 소 사육 문화를 그 이전과 이후로 나눌 만큼 충격이 컸던 일대 사건

○ 삼국시대와 고려시대 원나라의 지배이전에는 주로 농경과 자급자족을 목적으로 소가 사육되었을 것으로 추정(‘06, 제주도)

* 일본서기에 의하면, 661년 말린 고기를 교역했으며, 고려 문종 7년(1053년) 탐라의 왕자 수운나(殊雲那)가 우황, 소뿔, 소가죽 등을 바쳤다는 기록도 전함(‘01, 국립제주박물관)

제주에만 있는 소 키우기 문화, ‘둔쇠’, ‘맴쇠’?!

▷ 제주의 전통적인 ‘수눌음’의 문화는 소를 키우는데도 적용되어 ‘둔쇠’가 되었고 가난을 함께 나누고자 했던 마음은 ‘맴쇠’로 나타나 제주만의 목축문화를 형성

- 둔쇠란 봄부터 가을까지의 방목기간 동안 친족 또는 마을단위로 몇몇 농가가 당번을 정해서 돌아가면서 공동으로 소를 방목하는 것

* 바쁜 농사철에 각자의 소를 들로 끌고 가야하는 번거로움을 해결

- 맴쇠(갈름쇠, 병작쇠)는 소가 없는 가난한 농가에서 소를 많이 가지고 있는 농가의 암소를 빌려 사육하여 낳은 송아지를 소의 주인과 반반 나누던 풍습

* 소를 빌린 농가입장에서는 일소를 확보하고 자기 소유의 소도 얻는 기회가 되며, 빌려준 농가에서는 많은 소를 키우는 번거로움을 더는 계기가 됨

○ 원(몽고)의 지배가 시작되면서, 원나라는 제주에 말목장과 함께 소를 들여와 소목장을 따로 만들어 운영(‘07, 제주대학교)

- 들여온 소가 어떤 종류의 소인지에 대한 기록은 없으나 당시 제주 소의 유전자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임

  • 이전페이지
  • 목차
  • 다음페이지
  • 자료출처 •농촌진흥청 •농사로 •Rda 인트라뱅
  • 자료출처 바로가기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바로가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