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램프쿡 로고
    • 검색검색창 도움말
  •   
  • 한방식품 백과사전

  • SNS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카카오스토리 카카오톡
  • 미음
  • 미음

    식품명 미음
    식품코드 101741
    분류 주식 > 죽류 > 미음
    발행기관 한국한의학연구원
    학술지명 한의학고전DB
    권호 本經疏證 卷二 上品 草 8種 > 甘草

h2mark 문헌(논문)명

본경소증(本經疏證)

h2mark 저자

추주 (鄒澍)

h2mark 효능/처방전

特脈之動而中止, 不能自還, 因而復動者, 有三, 曰代, 曰結, 曰促.
解之者曰, 脈數而止, 謂之促, 緩而止, 謂之結, 止有定時, 謂之代, 乃炙甘草湯, 但治結, 而不治代促, 其義何居.
曰此非甘草不治代促, 乃非治代促之湯也.
觀論中桂枝去芍藥湯證(脈促胸滿), 葛根黃連黃芩湯證(脈促下痢), 下後欲解證(脈促不結胸), 皆不忌甘草, 卽可知其旨不在甘草矣.
其次則甘草乾薑湯, 芍藥甘草湯, 一和脾, 一和肝.
和脾者, 安中宮陽氣之亂, 和肝者, 通木臟陰氣之凝結, 雖係乾薑芍藥之力, 然此重彼輕, 則又可見中央之病, 中央藥主之, 乾薑芍藥力雖大, 然保泰定功, 不能不歸於甘草也.
故兩湯之治曰, 便厥咽中乾, 煩躁吐逆, 兩脛拘急, 是陽明內結也, 與甘草乾薑湯.
厥愈足溫, 重與芍藥甘草湯, 爾乃脛伸.
夫陽結爲厥, 陰結爲拘, 乾薑能破陽, 芍藥能破陰, 破陰破陽, 能愈拘愈厥, 不能愈咽乾, 止煩躁, 此保泰定功之所在矣.
夫中者上下之樞, * 맥박이 중간에서 멎었다가 다시 뛰는 상태는 代結促 세 경우가 있다.
① 數脈이면서 한번씩 그치면 促이고, ② 緩脈이면서 그치면 結이고, ③ 일정한 횟수만에 정지하는[定時] 것을 代라 한다.
그런데 炙甘草湯은 結만을 치료하고 代와 促은 치료하지 못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 까닭은 무엇인가 이것은 甘草가 代와 促을 치료하지 못한다는 뜻이 아니라, 炙甘草湯이 代와 促을 치료하지 않는 것이다.
桂枝去芍藥湯證 脈促胸滿, 葛根黃連黃芩湯證 脈促下痢, 下後欲解證 脈促不結胸 등에 모두 甘草가 있다.
그러므로 甘草로 특별히 結만 치료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甘草乾薑湯과 芍藥甘草湯을 고찰하면, 하나는 脾를 조절하고 하나는 肝을 조절한다.
和脾는 中宮에서 혼란한 陽氣를 안정시키는 것이고, 和肝은 木臟에서 응결한 陰氣를 소통하는 것이다.
이 처방들은 비록 乾薑과 芍藥의 효능과 유관하지만, 감초는 많이 쓰고 건강과 작약은 조금만 쓴다.
그러므로 중앙 질병은 중앙의 약으로 치료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건강과 작약은 약력이 세지만 保泰定功은 甘草가 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두 처방의 주치증은 바로 厥하고 목구멍이 마르며 煩躁, 吐逆, 兩脛拘急하다.라고 하였다.
이것은 陽明이 안에서 응결한 것이다.
甘草乾薑湯을 투여하여 厥症이 낫고 다리가 따뜻해지면 다시 芍藥甘草湯을 투여한다.
그러면 바로 다리가 펴진다[脛伸].
陽이 응결하면 厥冷이 되고 陰이 응결하면 拘攣이 된다.
乾薑은 陽을 깨뜨리고 芍藥은 陰을 깨뜨린다.
이렇게 破陽하고 破陰하면 拘攣과 厥冷이 낫지만, 목구멍이 마르는 증상과 煩躁는 낫지 않는다.
이 때에는 保泰定功해야 한다.
가운데는[中] 상하의 중심[樞]이기 때문이다.

h2mark 년도

1832

h2mark 기타

12권
전통식품백과, 한방식품백과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
  • 자료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과학기술연구회 •한국식품연구원(KFRI)
  • 자료출처 바로가기

h2mark 더보기

식품사전 2
동의보감 40
한방백과 68
학술정보
건강정보
고조리서
지역정보
문화정보 2
역사정보 3

h2mark 관련글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바로가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