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램프쿡 로고
    • 검색검색창 도움말
  •   
  • 한방식품 백과사전

  • SNS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카카오스토리 카카오톡
  • 매실절임
  • 매실절임

    식품명 매실절임
    식품코드 101478
    분류 기타 > 기타 > 기타
    발행기관 한국한의학연구원
    학술지명 한의학고전DB
    권호 本經疏證 卷九 中品 獸 2, 蟲魚 5, 果 1, 穀 8, 菜 3種 > 梅實 烏梅

h2mark 문헌(논문)명

본경소증(本經疏證)

h2mark 저자

추주 (鄒澍)

h2mark 효능/처방전

仲景用藥, 多緊帖本經, 獨於梅似若未盡其功能, 而取其治厥治, 又非本經所載.
殊不知只消渴氣上撞心, 已該下氣, 而心中疼熱, 飢不欲食, 又該除熱煩滿安心矣.
何則.
梅實生靑, 半熟紅, 全熟黃, 之則白, 蒸之則黑, 能具五色之全, 而靑時酸, 紅時甘酸, 黃時甘多於酸, 白者鹹苦, 黑者苦酸, 五味又具其四.
其所以用烏梅者, 豈不以能從肝而心腎乎.
夫黑而酸, 水生木也.
酸緣蒸熟而變苦, 木生火也.
故凡脈微而厥, 膚冷, 其人躁無暫安時, 卽非所宜.
若病者本靜, 乃復時煩, 須臾復止, 得食而嘔, 又煩, 斯爲合用.
是知厥爲陽氣不伸, 吐爲陽氣因不伸內津氣, 致無所吸受而上出, 故曰聞食臭出.
厥非臟寒從醫宗金鑒, 其實仍是氣上撞心, 心中疼熱之現據, 其用梅仍是吸水以濟火, 非有他也.
然則謂仲景用梅, 但得本經之一節則可, 若謂治厥治, 非本經之旨, 則誤矣.
擴而充之, 後人以之治吐治利, 何莫非因仲景烏梅丸推類及之.
若夫白梅之蝕惡肉, 仍是去死肌靑黑誌之旨, 黃梅漿之解暑渴, 仍是安心除煩滿下氣之旨, 特其變酸爲鹹苦, 則致津之外, 自有軟堅去之功, 變酸爲甘, 則致津之中, 更有調燮陰陽之效.
循是以思, 梅之功蓋猶未盡乎此, 而所以人元悟, 是仲景用梅, 有以誘之耳.
仲景이 약을 이용하는 방법은 대부분 《本經》과 일치한다.
그런데 중경은 梅實을 쓸 때 《本經》 주치증을 완전히 이용하지 못한 것처럼 보인다.
그리고 仲景은 梅實로 厥證과 蛔蟲證을 치료하였는데 《本經》에는 이런 기전이 없다.
그러나 사실은 그렇지 않다.
消渴氣上撞心은 〔下氣〕에 해당하며, 心中疼熱, 飢不欲食은 〔除熱煩滿安心〕에 해당한다.
梅實은 처음 열릴 때는 푸르지만 절반 정도 익으면 붉어지고, 완전히 익으면 노랗게 된다.
그리고 매실은 술을 담으면 하얗게 되고, 쪄서 익히면 검어진다.
梅實은 이렇게 다섯 색을 모두 갖춘다.
梅實은 푸를 때는 시고, 붉을 때는 달고 시며, 노랗게 되면 신맛보다 단맛이 많아지고, 하얗게 되면 짜고 쓰며, 검게 되면 쓰고 시다.
그래서 五味 중 넷을 갖추고 있다.
따라서 梅實은 肝에서 心腎을 엮어준다[心腎].
검고 신맛은 水生木이며, 쪄서 익히면 신맛이 쓴맛으로 변하는 것은 木生火다.
따라서 梅實은 맥상이 미약하고 사지가 싸늘하며 피부가 차갑고 조급해 하면서 잠시도 안정하지 못하는 때는 부적합하다.
매실은 본래 안정되어 있다가 때때로 갑갑해[時煩]하고 금방 그치며 밥을 먹으면 토하고 다시 갑갑해 하는 경우에 적합하다.
그러므로 梅實로 치료하는 厥證은 陽氣가 퍼지지 못하는 증상이며, 吐는 퍼지지 못하는 陽氣가 내부 진액을 태워버려서 蛔蟲이 빨아먹을 게 없어서 위로 나오는 증상이다.
그래서 蛔蟲이 밥냄새를 맡으면 나오고, 厥은 臟이 차가운[臟寒] 게 아니다.라고 하였다.
《醫宗金鑑》 이렇게 되면 氣가 올라와서 심장을 때려서[氣上撞心] 심장 속이 아프고 열이 난다[心中疼熱].
이때 梅實을 쓰면 물을 빨아들여 불을 구제한다.
따라서 仲景이 梅實을 쓸 때 단지 《本經》 한 구절만 썼다고 할 수 있지만, 厥과 蛔를 치료하는 것도 결국 《本經》 뜻이다.
노란 매실[黃梅]로 쥬스를 만들어 마시면 여름에 갈증을 해소하는데, 이것은 〔安心, 除煩滿下氣〕라는 뜻이다.
다만 신맛이 쓴맛으로 변하면 津液을 보내면서 견고한 것을 부드럽게 만들고 딱딱한 것을 제거하는[軟堅去硬] 효능도 생긴다.
그리고 신맛이 단맛으로 변하면 津液을 보내며 陰陽을 조절하는[調燮] 효능도 있다.
이렇게 생각하면 梅實은 여기서 제시한 것보다 더 많은 효능이 있으며, 仲景이 쓴 뜻도 알 수 있게 된다.

h2mark 년도

1832

h2mark 기타

12권
전통식품백과, 한방식품백과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
  • 자료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과학기술연구회 •한국식품연구원(KFRI)
  • 자료출처 바로가기

h2mark 더보기

식품사전 2
동의보감 43
한방백과 16
학술정보
건강정보
고조리서
지역정보
문화정보
역사정보

h2mark 관련글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바로가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