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램프쿡 로고
    • 검색검색창 도움말
  •   
  • 한방식품 백과사전

  • SNS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카카오스토리 카카오톡
  • 대추미음
  • 대추미음

    식품명 대추미음
    식품코드 101022
    분류 주식 > 죽류 > 미음
    발행기관 한국한의학연구원
    학술지명 한의학고전DB
    권호 本經疏證 卷三 上品 草 7種 > 黃

h2mark 문헌(논문)명

본경소증(本經疏證)

h2mark 저자

추주 (鄒澍)

h2mark 효능/처방전

愚嘗謂濕飮水三者相似而實不同, 故金要略分爲三篇.
蓋濕者漫霧露之氣也, 飮者貯於器中者也, 水者洋溢四射者也, 是故水飮有質而濕無質, 然有質者由生而化, 無質者由化而生, 化者化之, 生者發之, 其治固有別矣.
然濕病篇云, 風濕脈浮身重, 汗出惡風者, 防己黃湯主之.
水氣篇云, 風水脈浮身重, 汗出惡風者, 防己黃湯主之.
水與濕不, 防己黃湯之治不異, 其義何居.
夫風激水而齧土, 濕從風而頹土, 爲病者不同, 受病者無以異.
防己黃湯, 白朮守中, 黃行外, 防己除病, 甘草調劑, 其分數調劑居二, 守中居三, 除病居四, 行外居五.
所以然者, 土主人身之肌肉屬脾, 黃與白朮皆脾藥也, 用而自本而行標, 用朮因在標而防本, 病正在標, 自宜治標者三, 治本者二, 然但知守而不知戰, 則病何由去, 此驅病之防己, 所以介乎其中矣.
要之風濕風水之爲病, 動病也, 朮靜而動, 故其任重, 朮任輕.
防己黃之爲劑, 汗劑也, 黃能行而不能發, 故之任非特重於朮, 且更以薑棗佐之.
蓋防己驅逐水濕, 水濕勢必下行, 下行過急, 仍恐土齧且頹, 病旣在表, 不如發之使近從表出爲愈也.
風濕風水, 脈浮身重, 汗出惡風者, 防己黃湯主之.
皮水四支腫, 水氣在皮膚中, 四肢動者, 防己茯湯主之.
以是知黃非止汗者, 特能行營衛中氣, 營衛中氣行, 邪氣遂無以干, 則汗自止耳.
何以言之.
夫水氣在皮膚中, 則從汗出爲便, 今去薑棗與朮, 加桂枝茯, 則不欲其解於汗, 欲其解於小便矣.
本不汗出, 且欲水氣從小便解, 而仍用黃, 尙以黃爲止汗耶.
雖然, 兩方雖皆用黃, 其旨終不同也.
防己黃湯證, 病本向外, 則乘勢壯營衛之氣, 使水濕從標而解, 是用以厚表氣, 故分數甲於一方.
防己茯湯證, 病不向外, 則通其水道, 從本而解, 是用以利陰氣, 故分數退居茯下.
與桂枝, 防己黃湯, 中焦之劑, 防己茯湯, 下焦之劑, 從本從標, 猶只在太陽膀胱, 此異而同者也.
나는 언젠가 濕, 飮, 水는 비슷하지만 실제는 다르다고 하였다.
《金要略》에서는 3편으로 나누었다.
① 濕은 널리 퍼져 있는 안개나 이슬[漫霧露] 같은 氣이고, ② 飮은 그릇[器中]에 저장돼 있는 것이며, ③ 水는 가득 차서 사방으로 넘치는 것이다[洋溢四射].
따라서 水와 飮은 형질이 있지만 濕은 형질이 없다.
그런데 형질이 있는 것은 발생하여 변한 것이고[由生而化], 형질이 없는 것은 변해서 발생한 것이다[由化而生].
化는 변하는 것이며, 生은 일으키는 것이므로[化者化之, 生者發之] 치료가 본래 다르다.
그런데 〈濕病篇〉에서는 : 風濕으로 맥상이 浮하고 몸이 무겁고[身重] 땀이 흐르고 바람이 싫을 때[惡風] 防己黃耆湯을 쓰며, 〈水氣篇〉에서는 : 風水로 맥상이 浮하고 몸이 무겁고[身重] 땀이 흐르고 바람이 싫을 때[惡風] 防己黃耆湯을 쓴다.
이처럼 水와 濕이 다른데도 불구하고 防己黃耆湯을 같이 쓰며 치법이 같다.
그 이유는 무엇인가 바람[風]이 물을 몰아치면 흙을 침식하고, 濕이 바람[風]을 따르면 흙을 무너뜨린다[風激水而齧土, 濕從風而頹土].
이처럼 원인은 다르지만 질병은 같다.
防己黃耆湯은 白朮로 中焦를 지키고[守中], 黃耆로 외부로 보내고[行外], 防己로 病을 없애고[除病], 甘草로 조절한다[調劑], 분량은 調劑가 2이고, 守中이 3이고, 除病이 4이며, 行外는 5다.
土는 인체 肌肉을 주관하며 脾에 속하는데, 黃와 白朮은 모두 脾에 속하는 약이다.
黃는 本에서 表로 보내고 백출은 表에서 本을 막는다.
질병은 바로 체표에 있으므로 表를 치료하는 것을 3, 本을 치료하는 것을 2로 하는 것이 적당하다.
그러나 지키기만 하고 싸우지 않으면 질병이 없어지지 않는다.
그래서 질병을 쫓아내는 防己 분량이 중간이다.
요약하면 風濕과 風水는 움직이는 병이다[動病].
백출은 움직이지 않고 황기는 움직이므로, 화기는 임무가 무겁고 백출은 임무가 가볍다.
防己와 黃耆는 땀과 관계가 있는 약이다[汗劑].
黃는 보내지만[行] 발산하지[發] 못한다.
그러므로 황기 임무가 백출보다 특별히 무거운 것도 아니며 다시 생강과 대추로 보좌했다.
防己는 水濕을 몰아낸다[驅逐].
水濕은 반드시 아래로 흐르는데, 너무 급하게 밑으로 내려가면 土가 침식당하고 무너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病이 表部에 있다면, 가까운 表에서 발산하여 쫓아내서 치료하는 게 좋다.
⑴ 風濕과 風水로 맥상이 浮하고 몸이 무겁고[身重] 땀이 나면서 바람이 싫으면[汗出惡風] 防己黃湯으로 치료한다.
⑵ 皮水로 사지가 붓고 피부 속에 물기[水氣]가 있어서 사지가 씰룩씰룩 움직이면 防己茯湯으로 치료한다.
이로써 黃는 땀을 그치는[止汗] 게 아니라 다만 營衛 속 氣를 순행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營衛 속 氣가 순행하면 邪氣가 결코 침범하지 못하며 땀도 저절로 그친다.
무슨 말인가 하면, 水氣가 피부 속에 있으면 땀으로 내보내는 것이 좋은데, 防己黃湯에서 生薑, 大棗, 白朮을 빼고 桂枝, 茯을 가하는 뜻은 물기를 땀으로 해소하는 게 아니라 소변으로 없애려는 것이다.
물기를 땀으로 몰아내지 않고 소변으로 없애려고 할 때 黃를 썼다.
그런데도 黃가 止汗한다고 하겠는가.
위 두 처방에 모두 黃가 있지만 쓰여진 뜻은 다르다.
防己黃湯證은 질병이 본래 외부를 향한다.
그래서 이런 세력을 타고 營衛 氣를 키워서 水濕을 체표로 없애는[解] 것이다.
이것은 表氣를 두텁게 하는 방법으로서, 이 처방에는 黃가 가장 많다.
防己茯湯證은 질병이 외부를 향하지 않는다.
그래서 水道를 뚫어서 근본으로 해소하는데, 이것은 陰氣를 이롭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黃量이 茯보다 적고 桂枝와 같다.
防己黃湯은 中焦 약이고, 防己茯湯은 下焦 약이다.
근본을 쫓고 標를 쫓는 것은 단지 太陽과 膀胱에 차이가 있을 뿐이다.
이것은 다르면서도 같다.

h2mark 년도

1832

h2mark 기타

12권
전통식품백과, 한방식품백과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
  • 자료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과학기술연구회 •한국식품연구원(KFRI)
  • 자료출처 바로가기

h2mark 더보기

식품사전 3
동의보감 64
한방백과 35
학술정보
건강정보
고조리서
지역정보
문화정보 1
역사정보

h2mark 관련글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바로가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