醫鑑治産後去血過多, 以致發熱ㆍ心煩ㆍ腹痛ㆍ頭暈眼花, 或口神昏. 當歸ㆍ白朮ㆍ川芎ㆍ白茯ㆍ熟地黃ㆍ陳皮ㆍ(便)香附ㆍ烏藥ㆍ乾薑ㆍ益母草ㆍ牧丹皮ㆍ甘草 各七分五里, 薑五片, 棗二枚.《寶鑑》 《의감》 출산 이후에 과다한 피를 흘려 열이 나고, 가슴이 답답하며, 배가 아프고, 머리가 어지러우며, 눈이 흐릿해지고, 입을 악물며, 정신이 혼미한 증상을 치료한다. 당귀ㆍ백출ㆍ천궁ㆍ백복령ㆍ숙지황ㆍ진피ㆍ변향부자ㆍ오약ㆍ건강ㆍ익모초ㆍ목단피ㆍ감초 각 7.5푼, 생강 5쪽, 대추 2개. 《보감》
년도
1868
기타
12(6)
전통식품백과, 한방식품백과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