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램프쿡 로고
    • 검색검색창 도움말
  •   
  • 전통식품 건강정보

  • SNS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카카오스토리 카카오톡
  • 호박만두
  • 호박만두

    식품코드
    분류 주식 > 면류 > 만두
    저자
    발행년도
    IPC
    DB구축년도
    키워드

h2mark 식재료

가. 주재료 : 밀가루, 호박, 물, 두부, 표고버섯, 부추, 양파, 돼지고기, 마늘, 당면

h2mark 조리법

① 밀가루에 소금을 넣어 반죽하여 30분 정도 두었다가 치댄 후 얇게 밀어서 지름 8㎝ 의 둥근 모양으로 떠서 만두피를 만든다.
② 호박을 얇게 채 썰어 소금에 절인 후 물기를 꼭 짠다 ③ 돼지고기는 살코기 부분으로 준비하여 곱게 다져 놓는다.
④ 당면은 팔팔 끓는 물에 삶아서 다져 놓는다.
⑤ 두부를 으깨서 물기를 꼭 짜준다.
⑥ 표고버섯, 부추, 양파를 잘게 썰어 놓는다.
⑦ 준비해 놓은 재료에 소금, 참기름, 후춧가루, 다진 마늘을 넣어 잘 섞어 만두소를 만든 다.
⑧ 준비한 만두피에 호박만두소를 적당하게 올리고 꼭꼭 눌러 넣어 빚는다.
⑨ 찜통에 만들어 놓은 호박만두를 넣고 30분간 찐다.
⑩ 그릇에 찐 호박만두를 놓는다.
때때로 입맛에 따라 간장을 찍어 먹는다.

h2mark 건강기능

우리나라의 호박은 다른 박과 과채류에 비하여 기후조건에 대한 적응범위가 넓고, 한국의 기후풍토에서 잠재 생산 가능성이 대단히 높다.
또한 내건성이 강하여 적당히 시비하면 척박한 토양에서도 생육이 왕성하여 유휴지에서 재배가 가능하고, 다른 과의 채소류에 비하여 병해충이 심하지 않아 재배기간 중에 농약을 거의 살포하지 않는 무공해 식품으로도 그 가치가 높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호박분말 효소가수분해물의 항산화활성 P172-178 호박은 성숙함에 따라 당질과 비타민 A 함량이 증가하여 영양적 가치가 높을 뿐만 아니라, 황색을 나타내는 천연색소 인 카로틴(carotene), 리코펜(lycopene) 및 루틴(rutin) 등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들 천연색소들이 여러 가지 가공식품의 첨가물로 이용되고 있다.
쌀가루를 농후제로 사용한 호박 크림수프의 품질 특성 P44-53 우리나라 재래종 호박에는 베타카로틴(β-carotene)을 비롯한 여러 가지 유효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서, 당뇨병, 비만증 등의 성인병 예방과 치료에 유효하다는 것이 알려지면서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특히 호박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β-carotene은 항암효과와 면역기능 항진력, 심장질환에 대한 영향, 유해 활성산소를 소거하는 기능 등이 알려져 있어서 단순한 색소로서의 의미를 벗어나 기능성 성분으로서 주목받고 있다.
호박 P44 또한 호박에는 칼슘(Ca), 칼륨(K), 인(P) 등의 무기질과 비타민 A가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호박의 당분은 소화흡수가 좋아서 위장이 약한 사람이나 회복기 환자, 당뇨병 환자, 비만인, 산후 부기를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좋은 식품으로 알려져 있다.
건조 방법에 따른 호박 분말 및 죽의 품질 특성 P180-185 동양계 재래종 호박은 예로부터 약리적인 효과를 기대하는 용도로 사용되어 왔으며, 호박의 과육부위는 과당(fructose), 포도당(glucose), 자당(sucrose)의 유리당으로 구성되어 있고, 아미노산 중 세린(serine)과 아스파라긴산(aspartic acid)의 함량이 높아 위장이 약한 사람이나 회복기의 환자, 부종의 완화 등의 효과로 많이 사용되었다.
호박의 활용도 개발 연구 최근에는 호박에 항암효과가 있는 β-carotene의 함량이 높아 기능성 소재로서 관심을 끌고 있으며 그 외에도 비타민 A 및 전구물질인 카로티노이드(carotenoid)류 Ca, Na, P 등 무기질 및 섬유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다양한 기능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호박의 종류 및 첨가 비율을 달리한 분말 호박 수프의 품질 특성 P65-76

h2mark 식품특성

호박만두는 메밀가루나 밀가루를 반죽하여 호박을 넣어서 만든 소를 넣고 빚은 음식이다.
호박(Cucurbita spp.)과의 식물은 중앙, 남아메리카에 현재 30 여종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호박이라고 부르고 있는 것에는 식물학적으로 5종이 포함되어 있다.
동양계 호박(Cucurbita moschata), 서양계 호박(Cucurbita maxima), 페포계 호박((Cucurbita pepo), 믹스타 호박(Cucurbita mixta) 및 흑종 호박(Cucurbita ficifolia) 등이다.
호박의 이화학적 특성 P17-34 호박은 독특한 향미와 약리작용 등으로 인하여 오래전부터 한국인들에게 친숙한 식량자원의 하나로 다른 과채류에 비해 기후조건에 대한 적용범위가 넓고, 가뭄에도 강한점 등으로 인하여 한국의 기후 풍토 하에서 잠재생산 가능성이 높은 작목이다.
ellow food로 성인병을 예방하자 P50-55 크게 1년생과 다년생으로 나눌수 있으며, 식용으로 이용하는 호박은 1년 생의 3종(C.
moschata, C.
maxima, C.
pepo)이다.
국내에서 재배되는 밤호박은 당도다 12˚Bx 내외로서 6∼7˚Bx인 종래의 늙은 호박보다 당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영양성분 면에서도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밤호박은 수분함량이 84,0∼87.6%이며 단백질 함량이 1.6∼1.9%로서 늙은호박보다 단배질의 함량이 매우 높고, 호박의 대표적인 기능성 성분인 카르테노이드 함량도 밤호박의 경우 35.4㎎%로 늙은 호박의 1.9㎎%보다 월등히 높다고 보고되었다.
또한 비타민, Ca, Na, P 등의 영양소를 다량 함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풍부한 섬유질 등 영양적 가치가 매우 높다고 보고되었다.
밤호박의 활용도 증진을 위한 가공 및 저장 기술 개발 P21

h2mark 어원유래

조선시대의 기록에 보이는 만두는 주로 밀가루나 메밀가루를 반죽하여 소를 싸서 삶아낸 것으로 교자에 해당하는 것이다.
조선시대 중엽까지도 만두는 상화(霜花, 床花)로, 교자는 만두로 명칭이 바뀌어 전해져 오다가 지금은 상화라는 음식은 사라지고 교자만이 만두라는 명칭으로 이어져오고 있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만두는 껍질의 재료와 소의 재료, 조리법 및 빚는 모양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다.
만두껍질의 재료에 따라서는 밀만두·어만두·메밀만두가 있고, 소의 재료에 따라서는 호박만두·고기만두·버섯만두·김치만두 등이 있다.
만두의 조리방법에 대한 문헉적 고찰-조선시대 만두의 종류와 조리방법에 대한 문헌적 고찰 P273-292

h2mark 역사배경

호박은 조선 말기로 오면서 서민의 부식으로 자리를 굳혔고, 구황식품으로 한몫을 하기도 하였다.
한국에서 재배되는 호박은 고온, 다습지대에 적응하여온 동양계 호박(C.
moschata Puch)과 페루, 볼리비아, 칠레북부의 남아메리카 고냉 지대를 원산지로 하여 고냉건조 지역에 적응해온 서양계 호박(C.
maxima Puch) 및 멕시코 북부와 북아메리카 서부를 원산지로 하고 있는 페루계 호박(C.
pepo.
L.)의 세 종류가 있다.
호박의 이화학적 특성 P17-34 이 중 동양계 호박은 한국을 비롯한 중국· 일본 등지로 전파된 시기가 가장 이른 것으로 추정되며 예로부터 애호박 ·호박고지용 ·호박범벅 등으로 이용되었다.
그 후 쪄먹는 호박 또는 밤 호박으로 불리며 주로 쪄서 이용하는 서양계 호박 등이 도입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 후 조숙재배용이나 하우스 촉성재배용으로 이용된 호박, 즉 주키니호박이라 불리며 덩굴이 거의 뻗지 않고 절성성(節成性)을 나타내는 애호박용의 페포계 호박 등이 도입 재배되었다.
호박의 활용도 개발 연구 동양계 호박은 삼국시대 이후 통일신라시대에 이미 재배되었다는 사실이 남아 있고 숙과와 청과를 겸용하는 것이 많다.
1970년대에는 오이의 대목용으로 도입된 야생호박(C.
ficifolia)이 있으며 이것은 씨앗이 검기 때문에 흑종(黑種) 호박이라 부르고 오이 대목용으로 널리 이용되었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만두는 중국의 남만 지역에서 유래된 음식이라 전해지는데, 삼국지의 유명한 제갈량의 남만 원정에서 그 기원이 나온다.
풍량을 잠재우기 위해서는 남만의 전통에 따라 사람의 머리를 바치고 제를 올리는 것을 거부하고, 만두를 만들어 풍량을 가라앉히고 촉으로 돌아간 것이 만두의 역사적 첫 등장이라 추정하고 있다.
이후 만두는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여 조리법이 발전하였는데, 우리나라에서는 고려 충렬왕 때 상화(霜花)라는 이름으로 처음 등장하고, 이후 조선 시대에서도 중국의 사신단 접대를 위하여 만두가 발달한 것으로 추정된다.
만두라는 이름이 처음 등장하는 것은 『영접도감의궤(迎接都監儀軌)』에 등장하고, 이후 궁정잔치에 다양한 재료를 이용한 만두들이 등장한다.
호박을 이용한 만두 또한 다양화되는 만두제조법에서 파생된 것으로 추정된다.

h2mark 참고문헌

1)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1996 2) 복혜자, 만두의 조리방법에 대한 문헌적 고찰-조선시대 만두의 종류와 조리방법에 대한 문헌적 고찰,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제23권 2호, P273-292 3) 박용곤, 호박의 이화학적 특성, 식품기술, 제4권 4호, 1991 4) 석호문, 호박의 활용도 개발 연구, 한국식품개발연구원, 1991 5) 정경연, Yellow food로 성인병을 예방하자 6) 김동석, 호박의 종류 및 첨가 비율을 달리한 분말 호박 수프의 품질 특성, 한국조리학회지, 2012 7) 오창경, 호박분말 효소가수분해문의 항산화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하회지, 제29권 2호 8) 오영섭 외 2명, 쌀가루를 농후제로 사용한 호박 크림수프의 품질 특성, 한국조리학회지, 제13권 3호 9) 이순옥, 호박, 생활과 농약 제27권 2호 10) 황성희 외 2명, 건조 방법에 따른 호박 분말 및 죽의 품질 특성,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제16권 2호 11) 김성란 외 9명, 밤호박의 활용도 증진을 위한 가공 및 저장 기술 개발, 한국식품연구원, 2002
전통식품백과, 한방식품백과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
  • 자료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과학기술연구회 •한국식품연구원(KFRI)
  • 자료출처 바로가기

h2mark 더보기

식품사전
동의보감
한방백과
학술정보
건강정보
고조리서
지역정보
문화정보
역사정보

h2mark 관련글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바로가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