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jor isoflavonoid contents of the phytoestrogen rich-herb Pueraria mirifica in comparison with Pueraria lobata
저자
Cherdshewasart, W. 외 2명
내용
갈포벽지의 제조 원료이기도 한 칡은 예로부터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어 왔다(Jung, 1970; Sang, 1984) 칡의 섬유질을 이용하여 새끼줄 대용으로 사용되기도 하였고, 바구니 등을 제작하는 용도로 사용되어 왔으며, 농사용 퇴비나 가축의 사료용으로도 사용되어 왔다 특히 칡뿌리(Pueraria radix)는 한자식 표현으로 갈근이라 표현되는데, 다양한 약리성분을 함유하고 있어서 고열, 두통, 고혈압, 소갈 등을 치료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알려지고 있을 뿐 만 아니라 골다공증, 심혈관계 질병, 폐경기 질환 등의 발생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는 식물성에스트로겐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Kinjo et al., 1987; Yuk, 1989; Sato et al., 1992; Thiem, 2003; Cherdshewasart et al., 2007) 또한 칡뿌리는 곡식에 준하는 구황식물로 가루를 내어 갈분을 생산하고 이를 이용하여 국수나 죽을 만들어 먹기도 하였다 칡뿌리는 토심이 깊은 곳에서 자란 것일수록 약용작물로서 효과가 높은데, 주로 봄, 가을철에 캐내어 물에 씻고 껍질을 제거한 뒤 햇볕에 말려 활용하게 된다 이외에도 칡의 어린순을 갈용이라 하고, 칡꽃은 갈화라 하여 여러 질병 들을 치료하는 용도로서 한방에서는 사용되어져 왔다(Daehan R.A.M., 1970) 이와 같이 칡은 과거부터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었던 유용한식물이지만, 산림의 생태적 건전성의 측면에서는 칡의 왕성한 생장과 번식력으로 인하여 다른 수목의 성장을 방해하고 고사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어 정책적으로 제거의 대상이 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Korea Forest Service, 2004a) 그러나 또 한편으로는 칡의 재배나 자생지에의 채취가 경제적으로나 실용적으로 용이하지 않아 기내배양을 통한 대량생산을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Kim et al., 2012; Lee et al., 2013).
전통식품백과, 한방식품백과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