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램프쿡 로고
    • 검색검색창 도움말
  •   
  • 전통식품 학술정보

  • SNS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카카오스토리 카카오톡
  • 청량미
  • 청량미

    식품코드 104355
    발행기관 제중신편(濟衆新編)
    학술지명 제중신편(濟衆新編)
    발행년 1799
    권호
    시작페이지
    종료페이지

h2mark 논문(문헌)명

제중신편(濟衆新編)

h2mark 저자

강명길

h2mark 내용

본초학적으로 속미(粟米, 메조)의 성미(性味)는 차고(寒) 맛이 짜며(鹹) 독이 없다(An MS 2012)
제중신편(濟衆新編)에 속미(粟米)는 기운을 돋우고 신(腎)을 보양하며 위열(胃熱)을 없애고 소변이 잘 나오게 한다(Yeogang chulpansa 1992)고 기록되었고 약산호고종방촬요(若山好古腫方撮要)에도 속미(粟米)의 효능을 익기(益氣)하고 신기(腎氣)를 기르며 대소변을 잘 통하게 하는(Ahn SW & Lee YH (2010) 것으로 쓰여있다
동의보감(東醫寶鑑) 에는 3∼5년 지난 속미(粟米)를 진속미 (陳粟米)라 하고 위열(胃熱)과 소갈(消渴)을 치료하고 이질(痢疾)을 멎게 한다(Yeogang chulpansa 1994)고 쓰여 있다
출미 (米, 차조)는 대장을 순조롭게 하고 열을 없애는 효능이(An MS 2012) 있다
속미(粟米)중에 이삭이 통통하고 맛이 좋은 것을 따로 양(梁)이라고 하며 알이 굵고 털이 긴 푸른 조를 생동차조(生動粟), 즉 청량미(靑梁米)라고 한다(Jung MH & Kim JK 2009)
청량미는 비위의 열을 내리고 소갈(消渴) 치료와 소변을 이롭게 하는데(An SW & Lee YH 2010) 동의보감(東醫寶鑑) 에 청량미(靑梁米)는 열중(熱中)과 소갈(消渴) 을 주로 치료하고 달여서 즙을 마시거나 죽, 밥을 지어 늘 먹으면 좋고 청량미(靑梁米), 황량미(黃梁米), 백량미(白梁米)는 모두 조(粟)의 종류이고 다른 곡식에 비하여 비위(脾胃)를 잘 보(補)하고 성질도 비슷하다(Jo HY et al 1999)고 쓰여있다.
전통식품백과, 한방식품백과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
  • 자료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과학기술연구회 •한국식품연구원(KFRI)
  • 자료출처 바로가기

h2mark 더보기

식품사전 1
동의보감 9
한방백과 7
학술정보 1
건강정보
고조리서
지역정보
문화정보 2
역사정보 1

h2mark 관련글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바로가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