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램프쿡 로고
    • 검색검색창 도움말
  •   
  • 전통식품 학술정보

  • SNS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카카오스토리 카카오톡
  • 누룩
  • 누룩

    식품코드 100821
    발행기관 한국영양식량학회
    학술지명 한국영양식량학회지
    발행년 1996
    권호 제25권 제1호
    시작페이지 170
    종료페이지 179

h2mark 논문(문헌)명

누룩 미생물의 문헌적 고찰(1945년 이전을 중심으로)

h2mark 저자

유대식 김현수 하현팔 김태영 윤인화

h2mark 내용

누룩은 우리나라의 전통 양조주의 당화제와 발효제를 겸비한 미생물 제제로서 전통술의 양조에 필수적인 물료(物料)이다
누룩의 특징은 밀, 귀리, 호밀, 조곡과 밀가루, 현미 또는 조백미(粗白米)를 원료로 하여 조분쇄하여 사용했다
다양한 원료를 사용한 것은 누룩의 제조 지방에 따라 생산되는 원료를 사용하기 때문이었다
누룩에 관여하는 미생물도 매우 다양하다
일본 코지(麴)는 순수 배양한 미생물을 살균한 곡류에 살포하여 만들므로 그 미생물의 조성이 매우 단순하지만, 누룩은 생전분 곡규를 살균하지 않고 일정한 크기로 성형하여 자연 상태에서 만들기 때문에 공기 중에 존재하는 많은 종류의 미생물이 서식하게 되어 사상균, 효모뿐 아니라 세균까지 다양한 미생물의 조성을 볼 수 있다
이러한 미생물의 조성에 따라 일본 코지는 당화제의 역할만 할 뿐이나, 한국 누룩은 사상균에 의한 당화제 역할과 효모에 의한 발효제의 역할을 겸비하여 전통술의 양조에 있어서 주모(酒母)를 사용하지 않고 누룩 단독 사용만으로 양조가 가능했다
그러나 누룩은 자영적인 미생물을 증식시킨 것이므로 당화력이 낮고, 발효력이 다소 낮은 단점도 있었다
우리 조상은 이러한 단점을 보와하기 위하여 저온 담금으로 누룩의 단점을 보완하고 다양한 미생물에 의한 다양한 술의 향미를 도모했다.
전통식품백과, 한방식품백과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
  • 자료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과학기술연구회 •한국식품연구원(KFRI)
  • 자료출처 바로가기

h2mark 더보기

식품사전 20
동의보감 217
한방백과 15
학술정보 4
건강정보
고조리서
지역정보
문화정보 3
역사정보

h2mark 관련글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바로가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