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상추는 넓은 잎을 싱싱한 것으로 골라 깨끗하게 씻고, 마지막 씻을 때 물에 참기름을 2방울 떨어뜨려 헹궈 차곡차곡 포개어놓고 쑥갓, 삿갓, 실파 등도 각각 씻어서 준비해 놓는다. 2) 섭산적은 연한 살코기를 곱게 다져서 갖은 양념을 해서 동글납작하게 만들어서 구워놓는다. 3) 민어찌개는 호박을 조금 넣고 고추장찌개를 삼삼하게 간을 한다. 4) 무 맑은 장국에는 다시마는 넣지 말고 끓인다. 5) 도미조림도 여럿이 먹는 상차림에는 작은 것을 통으로 조리고 반상에 놓는 경우는 토막을 쳐서 진간장에 조린다. 6) 생선보싱이는 도미나 민어와 같은 생선을 깨끗이 다듬어 대가리와 내장을 제거하고 솥에 쪄서 살만 발라 손으로 비벼 부스러트려서 파고명만 조금 넣고, 참기름과 소금으로 간을 맞추어 깨끗한 냄비에 볶아 다시 양념을 한다. 7) 고추장볶음은 고기와 웅어를 곱게 다져서 넣고 참기름을 흥건히, 설탕을 달게 넣어 고추장이 되면 물을 조금 넣어 박박 개어 밥하는 솥에가 찐 후 다시 불에 올려 잠깐 동안 끓여낸다. 양념을 할 때에는 파를 썰어 넣고, 깨소금도 넣는다. 8) 비빔밥은 밥을 질지도 되지도 않게 지어서 콩나물, 숙주나물, 오이나물 같은 것을 간 맞게 무쳐 넣고, 콩팥과 정육을 볶아 넣고, 간전유어를 부쳐서 썰어넣고, 알쌈과 완자도 만들어 넣어 간 맞추어 비비는데 깨소금은 약간만 넣고 참기름을 흥건히 넣는다. 9) 8)에 고춧가루를 뿌리고 겨자즙을 곁들인다.
재료 상추, 실파, 쑥갓, 삿갓, 섭산적, 민어찌개, 햇 깍두기, 햇김치, 무 맑은 장국, 도미조림, 생선 보싱이, 고추장볶음, 비빔밥, 겨자즙 만드는 법 상추는 넓은 잎에 싱싱한 것으로 골라 깨끗하게 씻고, 마지막 씻을 때 물에 참기름을 두어방울 떨어뜨려 헹궈 차곡차곡 포개어놓고 쑥갓, 삿갓, 실파 등도 각각 씻어서 준비해 놓는다. 섭산적은 연한 살코기를 곱게 다져서 갖은 양념을 해서 동글납작하게 만들어서 구워놓는다. 민어찌개는 호박을 조금 넣고 고추장찌개를 삼삼하게 간을 한다. 무 맑은 장국에는 다시마는 넣지 말고 끓인다. 도미조림도 여럿이 먹는 상차림에는 작은 것을 통으로 조리고 반상에 놓는 경우는 토막을 쳐서 진간장에 조린다. 생선보싱이는 도미나 민어와 같은 생선을 깨끗이 다듬어 대가리와 내장을 제거하고 솥에 쪄서 살만 발라 손으로 비벼 부스러트려서 파고명만 조금 넣고, 참기름과 소금으로 간을 맞추어 깨끗한 냄비에 볶아 다시 양념을 한다. 고추장볶음은 고기와 웅어를 곱게 다져서 넣고 참기름을 흥건히 넣고 설탕을 달게 넣어 고추장이 되면 물을 조금 넣어 박박 개어 밥하는 솥에가 찌고, 다시 불에 올려 잠깐 동안 끓여낸다. 양념을 할 때에는 파를 썰어 넣고, 깨소금도 넣는다. 비빔밥은 밥을 질지도 되지도 않게 지어서 콩나물, 숙주나물, 오이나물 같은 것을 간 맞게 무쳐 넣고 콩팥과 정육을 볶아 넣고 간전유어를 부쳐서 썰어 넣고 알쌈과 완자도 만들어 넣어 간 맞추어 비비는데 깨소금은 약간만 넣고 참기름을 흥건히 넣는다. 고춧가루를 뿌린다. 상추쌈에 제격은 비빔밥이지만은 비비지 않고 흰 밥으로도 좋다. 겨자즙도 맛있게 타놓는다.
조리기구
솥, 냄비, 베수건
키워드
상추쌈, 상추, 파, 쑥갓, 삿갓, 참기름
전통식품백과, 한방식품백과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