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Bibliographical study of Tzean using the fish, vegetable and etc.
저자
Kim ES 외 2
내용
임원십육지(林園十六志, 1827) 에는 “찜(烝)은 갱(羹)의 소즙자(少汁者)이다 증(蒸)은 수증기 찜이고 삶기찜, 중탕찜의 경우는 증(烝)으로 구별하고 있다”라고 기술하고 있다 조선시대 궁중연회시 식단에는 찜요리의 출현이 많았으며 그중에서 어패류의 찜은 붕어찜(魚蒸, 1719), 조기찜(秀魚蒸, 秀魚醬蒸, 乾秀魚蒸, 1795), 전복찜(生鰒蒸, 全鰒蒸, 熟鰒蒸, 1795), 해삼찜(海蔘蒸, 1827) 등이 출현되고 있으며, 아귀찜은 한국민속종합보고서, 1984 에 처음으로 기록되고 있다(23,24).
시작 P
77
종료 P
99
분류
식생활
전통식품백과, 한방식품백과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