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램프쿡 로고
    • 검색검색창 도움말
  •   
  • 제주도 향토음식

  • SNS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카카오스토리 카카오톡
  • h2mark 제주도 지역 음식

  • 이동
전복소라회
옥돔구이
전복죽
닭죽
녹두죽
생미역쌈
초기죽(표고버섯)
한치물회
해물뚝배기
갈치조림
돼지고기구이
제주도음식 소개

제주도는 해촌, 양촌, 산촌의 세지형으로 구분되어 있고 그 지형의 특색에 따라 생활 양식도 차이가 있다. 해촌은 해안에서 고기를 잡거나 해녀가 잠수 어업을 하며 해산물을 얻고, 양촌은 평야지대로 농업 중심의 생활을 하며, 산촌은 산을 개간하여 농사를 짓거나 한라산에서 나는 버섯, 고사리, 갖가지 산나물을 채취하여 식생활을 하였다.

제주도는 농사짓는 땅이 적어 식량을 겨우 대는 정도이고 쌀보다는 잡곡이 흔하며 조, 피, 보리, 메밀콩, 팥, 녹두, 깨, 감자, 고구마의 생산이 많다. 채소와 된장, 해조류가 찬의 재료가 되고 수육으로는 돼지고기와 닭고기를 주로 쓰고 있다. 바닷고기는 말려서 두고 쓰거나 생선국을 많이 끓이고 회를 많이 먹으며 특히 제주에서만 잡히는 자리돔과 옥돔은 맛이 일품이다. 이 지방의 특산물은 전복과 귤로서 예전에는 임금님께 진상하는 품목이었다.

제주도 음식의 간은 대체로 짠 편이고 재료가 가지고 있는 자연의 맛을 그래도 살리는 특징이 있으며 주민의 부지런하고 소박한 성품이 음식에서도 나타나 소박하고 꾸밈이없는 식생활을 이룩했다. 떡의 종류가 다른 지방에 비해 제일 적으며 잡곡이 흔하여 쌀로 만드는 떡은 명절과 제사때만 만들며 평소에는 메밀로 만드는 떡이 많다.

쌀이 귀하므로 평소에는 보리, 조, 팥 등의 잡곡밥을 많이 짓고 제삿날이나 비념에 고은밥(쌀밥)을 지어먹는데, 쌀은 80%를 육지에서 들여와야 하는 형편에 있었다. 1900년대 후반에는 외지 사람들이 많이 이주하여 그 양상이 달라지고 있다.

옛날의 식사는 잡곡밥에 된장을 푼 배춧국, 콩잎국, 뭇국, 파국, 호박국, 미역국, 생선국을 반드시 끓이고, 반찬은 자리젓, 갈치자반, 전갱이자반, 고등어자반, 건어를 쓰고, 회는 새 것이 손에 들어오면 먹게 되고 자리회를 먹는 것이 큰 즐거움이라 하였다.

말린 전복과 귤은 진상하기에 바빴다고 하며 일상 음식에 먹기는 어려웠다. 또 점심에 먼 곳에 나가서 일하는 사람은 대로 엮은 도시락에 잡곡밥을 담고, 찬은 된장과 자리젓을 옆에 담아 가지고 나갔는데, 밭에서 연한 콩잎을 따서 쌈을 싸면 일품이라고 한다. 제사를 지내고 가족이 쌀밥으로 음복함은 물론 다음 새벽에 젯밥을 이웃과 반드시 나누어 먹는데, 이는 갯밥어울림이라 하여 정의를 돈독하게 해주는 일이었다.

자주성이 강하여 장가들면 밭 한자리라도 나누고 따로 세간을 차리는 것이 전통적인 습관이었으니, 일찍 핵가족의 형태를 실천하여 자수성가의 길을 가르쳤다. 부지런하고 소박한 성품이 음식에서도 나타나 소박하고 꾸밈없고 질박한 식생활이었다.

제주도음식 종류

h2mark 주식류

주식은 잡곡밥을 주로 먹고, 메밀로 만든 칼국수, 저배기, 범벅, 빙떡 등이 있다. 전복, 옥돔, 깅이(게) 등을 넣은 해물죽과 초기(표고버섯), 닭, 매역새(미역) 등도 넣은 죽이 있고, 곤떡국, 생선국수, 메밀저배기, 메밀만두 등이 있다.

h2mark 찬류

고사릿국, 톳냉국, 돼지고기육개장, 된장찌개, 복쟁이지짐이, 상어지짐이, 오분쟁이찜, 자리지짐이, 돼지고기조림, 옥돔구이, 돼지고기구이, 볼락구이, 상어포구이, 상어산적, 계란전, 고사리전, 초기전(표고전), 꿩적, 메밀묵지짐이, 꿩지짐이, 후춧잎장아찌, 풋고추오이장아찌, 자리회(물회), 자리강회, 비계회, 전복소라회, 돼지새끼회, 몰망회, 오징어회, 양에무침, 톳나물, 날미역쌈, 날다시마쌈, 콩잎쌈, 전복김치, 동지김치, 해물김치, 나박김치, 다시마튀각, 가죽부각, 깻잎부각, 수애(순대), 청묵(메밀묵) 등을 만들어 먹는다. 섬 지역인 관계로 해산물의 이용이 많으며, 소의 사육이 적어 돼지고기를 이용한 음식이 많은 것이 한 특징이다.

h2mark 떡류

쌀보다 잡곡이 흔하여 떡도 메밀, 조, 보리, 고구마로 만드는 것이 많다. 떡종류는 다른 지방에 비하여 적은 편이다. 쌀로 만드는 떡은 명절, 제사에만 만들 정도로 귀하고, 평소에는 메밀로 만드는 떡이 많다. 특히 빙떡이라 하여 무채나물을 소로 넣고 돌돌 말아 부친 떡이 맛있다. 또 고구마 전분을 가지고 만드는 떡이 특별하다. 반찰곤떡, 달떡, 도돔떡, 침떡(좁쌀시루떡), 차좁쌀떡, 오매기떡, 돌래떡, 속떡(쑥떡), 빙떡(메밀부꾸미), 빼대기(감제떡), 상애떡 등을 주로 만들었다.

h2mark 후식류

조과류로는 약과, 닭엿, 꿩엿, 돼지고기엿, 하늘애기엿, 호박엿, 보리엿을 만들고 있고, 음청류로는 술감주, 밀감화채, 자굴차, 소엽차를 만든다.

h2mark 향토음식 레시피(남쪽) 바로가기

서울•경기 [398] 강원 [299] 충북 [201]
충남 [237] 경북 [404] 경남 [448]
전북 [218] 전남 [411] 제주 [305]
전국상용 [328] 合 : 3,249

h2mark 향토음식 레시피(북쪽) 바로가기

주식 [350] 전통요리 [379] 연회요리 [298]
식사요리 [280] 야생요리 [201] 지역요리 [242]
가정요리 [273] 보양요리 [301] 저장요리 [285]
음료.다과 [223] 合 : 2,832
음식 명칭

h2mark 향토음식

전통음식보다 협의의 개념으로 그 지역의 특산물을 이용하거나, 그 지역 에서 고유하게 계승되어 온 비법으로 조리하거나 또는 그 지역의 문화적 행사를 통해 발달된 음식

h2mark 전통음식

그 지역에서 생산된 식자재를 위주로 주민들이 오랜 역사를 통해 환경과 사회경제적․문화적 요인의 영향을 받아 발전시킨 식습관을 토대로 그 지방 특유의 음식이 형성․전래된 것으로 향토음식을 포괄

h2mark 전통식품

가정이나 식당 등에서 소비되는 향토음식과 전통음식이 저장성과 유통성을 갖추어 대량으로 상품화 단계에 이른 것
  • 자료출처 •농촌진흥청 •전라남도농업기술원 •한국학중앙연구원
  • 자료출처 바로가기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바로가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