熟地黃, 山茱萸【酒蒸各三兩】, 巴戟【二兩】, 免絲子【酒煮】, 續斷【酒浸】, 遠志【薑製】, 蛇床子【炒各一兩半】, 白茯神, 山藥【酒烝】, 牛膝【酒浸】, 杜【炒】, 當歸【酒洗】, 肉蓉【酒浸】, 五味子, 益智仁【水炒】, 鹿茸【灸各一兩】, 加拘杞子【三兩】, 人參【二兩】. 右搗爲末, 密丸梧子大, 每取九十丸, 空心湯或溫酒呑下. 臨臥再服. 男子服.【萬病回春】. 고본건양단은 슉디황 산슈유 술 무텨 니 각 석 파극 두 토 술의 달히니 쇽단 술의 니 원지 즙에 봇니 샤 봇니 각 냥 반 복신 산약 술 적셔 니 우슬 술의 니 둘튱 봇니 당귀 술의 시니 육죵용 술의 니 오미 익디인 소곰믈에 봇니 녹용 소유 라 구으니 각 냥의 구긔 석 냥 인 두 냥 가입야 디허 라 에 라 오동티 비븨여 아환식 아젹긔 소곰믈이나 슨 술의나 고 누을 제 머그되 나 머그라. 고본건양단은 숙지황 산수유(술에 찐 것) 각 3냥, 파극 2냥, 토사자(술에 삶은 것) 속단(술에 담근 것) 원지(생강에 법제한 것) 사상자(볶은 것) 각 1냥 반, 백복신 산약(술에 찐 것) 우슬(술에 담근 것) 두충(볶은 것) 당귀(술로 씻은 것) 육종용(술에 담근 것) 오미자 익지인(소금물에 축여 볶은 것) 녹용(연유를 발라 구운 것) 각 1냥에 구기자 3냥, 인삼 2냥을 더한다. 이 약들을 찧어 가루내고 꿀로 반죽해서 오자대로 환을 만든다. 90환씩 빈속에 소금물이나 따뜻한 술로 삼킨다. 잠자리에 들 때 다시 먹는다. 남자가 복용한다. 《만병회춘》
년도
1608
기타
1(1)
전통식품백과, 한방식품백과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