熟地黃, 香附子【各六錢】, 當歸【酒洗】, 吳茱萸【炒】, 川芎【各四錢】, 白灼藥, 白茯笭, 陳皮, 玄胡索, 牡丹皮【各三錢】, 乾薑【】, 熟艾【二錢】. 右分作四貼, 每服生薑三片同煎空心溫服. 臨臥時留渣再煎服. 待經行之日服起, 一日一貼, 藥盡經止, 交合必孕.【古今醫監】 됴죵옥은 슉디 향부 각 여 돈 귀 술의 싯고 오슈유 초고 쳔궁 각 너돈 샤약 복 딘피 현호삭 모란피 각 서 돈 육계 건 구으니 부븬 각 두 돈 이 싸라 네 복애 분야 복의 세 뎜 녀허 달혀 공심에 먹고 즈의 듯다가 누을 제 달혀 머그라 겨집이 월 나 날브터 복식 머거 약 다 먹고 월 긋거든 자면 일뎡 잉 니라. 조경종옥탕은 숙지황 향부자 각 6돈, 당귀(술로 씻은 것) 오수유(볶은 것) 천궁 각 4돈, 백작약 백복령 진피 현호색 목단피 각 3돈, 건강(구운 것) 숙애 2돈. 이 약들을 썰어 4첩으로 나누고, 각각 생강 3쪽을 함께 달여 빈속에 따뜻하게 먹는다. 잠자리에 들 때 남은 찌꺼기를 다시 달여 먹는다. 월경이 시작할 때 먹기 시작하여 하루에 1첩씩 먹는다. 약을 다 먹고 월경이 그친 다음 성교하면 반드시 잉태한다. 《고금의감》
년도
1608
기타
1(1)
전통식품백과, 한방식품백과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