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Undefined index: 10 in /home/lampcook/www/food_story/koreanfood_story_view.php on line 23

Notice: Undefined index: 10 in /home/lampcook/www/food_story/koreanfood_story_view.php on line 24

Notice: Undefined index: 10 in /home/lampcook/www/food_story/koreanfood_story_view.php on line 29

Notice: Undefined index: 10 in /home/lampcook/www/food_story/koreanfood_story_view.php on line 78

Notice: Undefined index: 10 in /home/lampcook/www/food_story/koreanfood_story_view.php on line 84

Notice: Undefined index: 10 in /home/lampcook/www/food_story/koreanfood_story_view.php on line 85
- 램프쿡
  • 램프쿡 로고
    • 검색검색창 도움말
  •   
  • 전통음식 이야기

  • SNS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카카오스토리 카카오톡
  • 이전페이지
  • 목차
  • 다음페이지
  • Chapter 10.
  • 이동

h2mark

♣ 중앙절 풍습과 음식 이야기

•음력 9월 9일

•대표음식 : 국화전, 국화주, 불고기, 신선로, 소고기뭇국 등

해마다 가을이 되면 전국의 산마다 단풍을 즐기는 인파들로 가득한데, 이는 오랫동안 전승되어온 중앙절의 등고(登高)풍습에서 유래한 것입니다. 음력으로 9월 9일은 양의 수인 9가 두 번 겹친 좋은 날이라 하여 중앙절(重陽節)이라 하는데, 중일 명절은 3월 3일, 5월 5일, 7월 7일, 9월 9일과 같이 홀수, 곧 양수가 겹치는 날에만 해당하므로 이날 들이 모두 중양이지만 특히 9월 9일을 가리켜 중양이라고 하며 중구(重九), 중광(重光) 이라고도 합니다.

중앙절은 중국에서 유래한 명절로 그곳에서도 매년 음력 9월 9일에 행하는 한족의 전통 절일입니다. 중앙절은 중국에선 한나라 이래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당송(唐宋)시대에는 추석보다 더 큰 명절로 지켜졌습니다. 특히 중국에서는 중앙절에 머리에 산수유 가지를 꽂거나 산수유 열매를 담은 주머니를 차고 높은 산에 올라가 국화주를 마셨는데, 이는 산수유 열매가 붉은 색으로 벽사의 힘을 지녀 잡귀를 물리칠 수 있다고 믿었기 때문입니다. 또한 높은 산에 올라 먼 곳을 내다보며 고향생각을 하는데, 중국은 국토가 얿어 고향을 찾기가 쉽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에서의 중앙절은 신라시대 때부터 명절로 삼았다고 전해지는데 이날에는 잔치를 베풀어 군신이 함께 즐겼다고 합니다. 고려시대에는 중구절을 정례화 하였으며, 조선조 세종 때에 이르러 일 년 중 삼짇날과 중앙절을 명절로 공인함에 따라 이날은 조상께 차례를 올리고, 노인들을 모시고 잔치를 크게 베풀어 경로사상을 높였다고 합니다.

중앙절에는 이와 같이 제사, 성묘, 각종 모임이 있었기 때문에 왕실에서는 관리들에게 하루의 휴가를 허락하고, 명절이므로 형(刑)집행을 금하는 금형의 날이기도 하였습니다. 한편 중앙절은 농촌이 한창 바빠지는 때이기도 해서 그 해 논농사를 결산하는 추수를 하고, 마늘을 심거나 고구마를 수확했고 퇴비만들기, 논물빼기, 논 피사리 등 작업량이 방대하였습니다.

지방에 따라서는 목화도 따야하고 콩, 팥, 조, 수수, 무, 배추와 같은 밭작물의 파종과 수확이 겹치는 시기이기도 합니다. 이런 탓에 농촌에서는 중앙절이라고 하여 특별한 행사를 벌이기보다는 평소와 같이 보내는 곳이 더 많았다고 합니다, 그러나 여유가 있는 계층에서는 다양한 방법으로 이 날을 보냈습니다.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1849) ‘9월조’에 의하면 “9월 9일은 국화를 관상하는 날이요. 또 국화로 만든 떡과 술 등을 만들어 먹는 풍습이 있다.”라고 하여 국화꽃을 즐겼음을 알 수 있습니다. 즉 중앙절 무렵은 국화가 만발하는 시기로 국화구경을 즐기는 날이라 하여 ‘상국일’(賞菊日)이라고도 하였습니다.

따라서 이날 각 가정에서는 국화꽃잎을 따다가 화전을 지져 먹고, 술에 국화꽃을 띄워 마시거나 국화꽃을 넣은 술을 빚기도 하였습니다. 동국세시기와 조선요리제법에는 국화전을 만드는 방법이 기록되어 있는데 오늘날의 화전 만드는 방법과 같음을 알 수 있습니다.

국화전
<국화전 (한국민속대백과사전)>

국화주에 대한 기록으로는 고려 중엽 이규보가 지은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에 중앙절에 국화주를 마셨다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이날 등고하면서 국화주를 마시거나 술에 국화꽃을 띄워 시를 읊는 등 풍류를 즐겼음을 추측할 수 있습니다.

국화주는 향기도 으뜸이거니와 국화주를 마시면 몸이 가벼워지고 정신이 맑아지며, 청혈해독 등의 효능이 있어 예부터 장수주로 여겨 궁중에서는 국화주를 축하주로 애용하였다고 합니다. 국화로 술을 빚을 때는 많은 국화 중 황국이 가장 좋은데, 들국화로 담은 것이 향미가 뛰어나다고 합니다.

또한 국화주는 술을 빚는 방법에 따라 다른 술맛을 즐길 수 있는데, 술을 담글 때 처음부터 국화를 함께 버무려 넣어서 빚는 경우와 ‘화향입주법’이라 하여 곡물과 누룩만으로 빚어 거른 술에 국화꽃을 띄워 그 향을 감상하며 마시는 방업이 있습니다.

그 밖에 지방과 가문에 따라 국화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술을 빚기도 하는데, 국화와 솔잎을 함꼐 버무려 넣어 빚기도 하며 국화 외에 숙지황, 구기자, 지골피 등의 약재를 함께 넣고 빚어 꽃향기와 한약재의 향이 어우러진 술을 빚기도 하였습니다.

  • 이전페이지
  • 목차
  • 다음페이지
  • 자료출처 •인천광역시 농업기술센터 •인천서구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 자료출처 바로가기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바로가기
Top